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처녀 여왕벌 성페로몬 화합물로 '살인말벌' 물리친다
연합뉴스
l
2022.03.15
성분을 규명하고 인공 화합물을 이용한 덫을 설치해 얻은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 iStock/Bruno Uehar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연구팀은 윈난성의 3개 봉군(蜂群)에서 나오는 처녀 여왕벌과 수벌을 채집해 같은 공간에 넣었으며, 수벌이 곧바로 ... ...
행동대장 상어는 잠을 잘까…결론은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1
isabellum)를 생리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면을 하는 것을 증명했다고 9일 국제학술지 ‘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했다. 드래프트보드 상어는 몸길이 1m에 넓고 납작한 머리와 두꺼운 몸을 가졌다. 몸에 바둑판 무늬가 있어 카펫상어라고도 불린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상어가 쉬고 있는 것처럼 ... ...
동물 싸움에서는 부정행위자가 이긴다?
과학동아
l
2022.03.01
큰 조직을 줄이고 집게를 키워 경쟁에서 우위에 선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
바이올로지
레터스’ 2월 9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98/rsbl.2021.0550 딘 연구원은 딱총새우와 농게가 무기로 사용하는 집게발의 외골격과 연조직의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신체 크기에 상관없이 집게의 크기가 클수록 ... ...
밀물과 싸워 건져낸 1억7천만년 전 최대 익룡 화석
연합뉴스
l
2022.02.23
차원 구조를 유지하며 거의 완벽하게 보존돼 살아 있었을 때 모습을 보여줬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발표된 관련 논문의 제1 저자인 에든버러대학 고생물학자 나탈리아 야기엘스카가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에든버러대학 고생물학 교수 스티브 브루새트는 1800년대 초 공룡 ... ...
침팬지 벌레 잡아 다친 상처에 바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국립공원의 침팬지를 관찰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7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동물은 균이나 미생물과 싸우기 위해 식물이나 흙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침팬지도 구충제 역할을 하는 식물 잎을 먹기도 한다. 그러나 동물이 치료를 위해 동물을 활용하는 사례는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곽준명 DGIST 교수·조철훈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수상자로 식물세포와 기관의 분리 현상을 연구하는 곽준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
바이올로지
전공 교수와 축산식품 가공 분야에서 플라즈마 농식품 분야를 개척한 조철훈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가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카길애그리퓨리나 문화재단은 8일 ‘제6회 ... ...
당신이 아는 고대 괴물 상어 '메갈로돈' 진짜 모습 아닐 수도
연합뉴스
l
2022.02.08
모습을 추론하는 과정의 허점을 드러낸 연구 결과를 고생물학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컬
바이올로지
'(Historical Biology)에 발표했다. 메갈로돈은 1천500만∼360만 년 전 고대 바다를 누볐던 초대형 상어 종으로 크기가 적어도 15m 이상, 최대 20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거대한 상어 ... ...
반려견 '작은 몸집' 변이 유전자 5만년 전 고대 늑대에 존재
연합뉴스
l
2022.01.28
하는 성장 호르몬 통제 유전자 주변에서 변이를 찾아낸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저널 발행사인 셀 프레스와 과학 전문 매체 등에 따르면 성장 호르몬인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이 개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지난 2007년 밝혀졌지만 이후 10여 ... ...
하마는 울음소리만 듣고도 이웃을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서로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낮선 하마에게 공격적으로 반응한다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24일 발표했다. 하마는 연구하기 어려운 동물로 꼽힌다. 개체를 식별하기도 어렵고 몸에 표시를 해도 찾기 어렵다. 밤에는 육지에서 먹이를 먹고 낮에는 물에서 집단으로 모이며 서식지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7번째 초세대 협업연구실 '차세대 초열전도체 연구실'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24일 밝혔다. 연구실은 이성배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서진수 교수, 이병훈 뉴
바이올로지
전공 교수와 이영삼 교수 4인으로 구성돼 있다. 기초연구실 후속지원사업은 2019년 선발된 34개 기초연구실 중 1단계 연구 우수성을 바탕으로 30% 내외 연구실을 선발해 2단계 심화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