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뜻밖
우연성
불안
추측
요행
뉴스
"
우연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적응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이를 유전학적으로 다시 쓰면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우연
들이 유전자에 반영돼 살아남는데 더 좋은 돌연변이 형질이 선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뇌 크기를 설명하지 못한다면, 이 모든 것이 반영되는 유전자를 실마리로 비밀을 추적해 볼 수 있는 ... ...
[과학사진관] 눈가에 드리운 다크서클, 인생이 뭐 길래, 사는게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5.15
했다.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 형광으로, 죽어있는 세포는 빨간색 형광으로 나타난다.
우연
의 일치인지 이 사진은 마치 췌장 섬세포로 서울 지도를 그린 것처럼 보인다. 작가의TIP DMSO는 유기물로 이뤄져 다른 물질들을 잘 녹인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나이가 들수록 노력의 비중을 줄여 잡고 있는데, 사회 불평등에 새삼 눈 뜬 건 아니고 운(
우연
또는 잡음(noise))이 삶을 꽤 좌우한다는 깨달음 때문이다.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렇다고 노력하지 말자는 건 아니고 일이 잘 안 풀릴 때 너무 억울해하지 말자는 것이다. 사진 GIB ... ...
자기에 대해 공부하는 새
팝뉴스
l
2018.03.06
제공 이런
우연
이 또 있을까. 한 소년이 새에 대한 책을 읽고 있는데 바로 책에 소개된 그 새가 날아와 앉았다. 새는 자신에 대해서 공부하는 셈이다. 사진은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에 공개되어 큰 화제를 일으켰다. 한 네티즌에 따르면 사진은 노르웨이 책이며 첫 번째 문장은 이런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18.03.06
밤까지 학교와 학원을 전전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우리나라가 OECD 자살률 1위인 게
우연
이 아니라는 말이다. 다행히 수년 전부터 우리나라도 ‘9시 등교’ 움직임이 일면서 현재 많은 학교들이 9시 또는 8시 반 등교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의 예를 보면 수업 시작 시간을 7시 25분에서 8시 반으로 65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등쌀에 "아마도 미국인의 식단에서 지방을 줄이는 게 바람직할 것 같다"고 답했다. 이런
우연
과 필연이 겹쳐 미국에서 저지방 식단 패러다임이 점차 자리를 잡았고 동시에 동물성 포화지방 대신 식물기름을 먹으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지고 심장병 위험성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 ...
[테마별 영화] 스티브잡스가 사랑했던 픽사의 애니메이션 BEST 3
2018.01.13
한 생동감 넘치는 작품이다. ‘행운의 지느러미’를 지닌 채 사는 주인공 ‘니모’가
우연
치 않게 자신을 과보호하는 아빠의 품을 벗어나 모험을 하는 이야기다. 아들 니모를 찾아나선 아빠 ’말린’도 그 과정에서 덩달아 성장하는 훈훈한 이야기. 신스틸러 ‘도리’ 캐릭터도 인상적이다. 그를 ... ...
먹기에는 너무 아까운 음료 스무디 아트
팝뉴스
l
2017.12.03
너무 아까운 장식들이다. 자카리아는 원래 마케팅 전문가였는데 순전히
우연
덕분에 ‘스무디 아트’를 발견했다고 한다. 스무디에 이것저것 넣어서 저어보다가 재미있는 모양이 떠오르기에 그 길로 계속 가본 것이다. 그녀의 말을 들어보자. “스무디 아트는 재미있기도 하고, 나 자신의 ... ...
명화와 하나가 사람들 ‘창조적 사진 작품’
팝뉴스
l
2017.10.25
어쩌면 스테판은 화가의 팬이 그림에 어울리는 색상의 옷을 입고 미술관에 온 것을
우연
히 포착했는지도 모른다. 왠지 모네의 수련 앞에 서 있는 아가씨는 입은 옷의 색깔로 봐서 모네를 아주 좋아하는 팬일 것 같다. 하지만 고대의 석판이나 아랍의 태피스트리의 색깔에 맞추어 입을 입고 온 팬이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나오노부 NARO 연구원은 논문에서 “우리가 이렇게 완벽한 파란색을 만들어 낸 것은 정말
우연
이었으며, 우리조차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그도 그럴 것이 연구팀은 분홍 국화에 딱 두 개의 외부 유전자를 넣어주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파란 국화를 피우는 데 성공했다. 이 유전자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