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플라스틱 폐기물이 수소와 전기로 변신…플라즈마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처리해 합성가스를 추출하고 수소를 정제하는 데 성공했다. 실험로와 고체산화연료
전지
(SOFC)를 연계해 플라즈마 처리 후 발생한 합성가스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핵융합연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해 상용화를 위한 연구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 ...
시시각각 변하는 나노입자의 3차원 원자구조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박 교수는 "개발된 기술이 앞으로 수소연료
전지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리튬 이차
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소재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더 나은 소재를 설계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5-56476- ... ...
차세대 유기배터리 수명 단축 원인 전해질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바꾼 차세대 이차
전지
다. 배터리 전극이 전해질 속으로 녹아 나오는 용출 현상이 심해
전지
수명이 짧다는 점이 상용화의 큰 걸림돌이다. 그간 다양한 연구가 보고됐지만 용출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용매와 양이온 간의 강한 상호 작용은 공삽입을 일으킨다.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항공청, 드론 전시회 'DSK 2025'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리젠시홀에서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차세대 원자력, 이차
전지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중에서 시장 수요가 높고 사업화 가능성이 큰 기술이 중점적으로 소개된다 ... ...
차세대 바닷물
전지
, 값싼 목재 폐기물로 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리그닌과 요소로 만든 촉매를 해수
전지
전극에 적용해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백금 촉매와 거의 비슷했다. 과전압 수준은 백금 촉매보다 더 낮았다. 과전압이 낮을수록 충전한 전기에너지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비율이 높아진다. 에너지 방전 ... ...
포스텍,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동시에 처리하는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 이미지 센서가 나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
전지
가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때 필요한 광(光)흡수 물질이다. 자율주행차가 보행자와 장애물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능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이지원 ... ...
[사이언스영상] 해파리를 닮은 로봇
SEIZE
l
2025.02.12
가능한 일이다. 무게가 줄면서 작동에 필요한 힘도 적어진 것이다. 해파리 로봇의 액체
전지
는 액체로 로봇을 움직이는 유압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반면에 기존 로봇은 배터리와 유압 액체를 따로 지녀 무게가 컸다. 해파리 로봇은 바다 데이터 수집에 사용될 수 있다. 잘 부러지지 않는 특성과 긴 ... ...
[부고] 장종현 KIST 수소·연료
전지
연구단장 모친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최병미 씨 별세, 장종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
전지
연구단장·장종철 메가존클라우드 매니저 모친상=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 발인 13일 10시. 02-2072-2010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소장과 이소영 책임연구원은 세계적인 수준의 전기화학적 성능과 내구성을 가진 연료
전지
원천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날 ‘KIST인 대상’을 수상했다. 고 최형섭 초대 소장의 기탁 기금으로 운영되는 송곡과학기술상은 ‘p-type 산화물 반도체’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용영 포스텍 교수가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재헌·신진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고가 원재료인 니켈의 함량을 낮추고 사용 전압을 높이는 기술이다. 고전압 미드니켈
전지
기술은 니켈 함량이 높은 기존 배터리 대비 가격을 10% 이상 절감하면서도 열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니켈 함량을 줄이면 배터리 용량이 감소해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