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무처럼 늘어나고 강철처럼 단단해지는 인공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됐다. 소프트 인공 근육은 로봇, 웨어러블 기기, 의료 보조 장치 등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분야에서 주로 연구됐다. 부드럽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 ...
기본입자 '뮤온' 이용해 강 아래 터널 안전성 검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muography)'로 터널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16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응용물리학 저널'에 공개했다. 물 아래를 지나는 터널은 터널 위로 쌓이는 퇴적물 모니터링과 유지 보수가 난제다. 일반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파괴시험 등이 시행되고 있어 안전한 비파괴검사가 필요한 ... ...
아동청소년 비만율 '경고등'…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효과·안전성에 쏠린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체중, 심장 대사 건강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는 게 요지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에 15일(현지시간)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총 18건의 무작위 임상시험 데이터가 분석됐다. 6~17세 비만 또는 당뇨를 가진 140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효과와 안전성을 ... ...
인류가 처음 본 M87블랙홀, 4년만에 자기장 뒤집혀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EHT는 내년 '블랙홀 동영상화' 작업도 추진한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9월호에 공개됐다. M87 블랙홀은 지난 2017년 인류 역사상 처음 이미지화돼 인류에게 그 모습을 드러낸 블랙홀이다. M87 블랙홀이 있는 M87 은하는 지구에서 약 5500만 광년(1광년은 ... ...
한국 자생식물 '해국', 월경통 완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건강기능식품이나 천연물 기반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염증 매개체’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doi.org/10.1155/mi/165408 ... ...
뇌 삽입 전극 수명 3배 늘리는 코팅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3개월 이상으로 늘린 신개념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
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뇌 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딱딱한 실리콘 대신 유연한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하고 전극 표면에 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두께의 특수 ... ...
원자력연, 소듐냉각고속로 제조 용기 이상 반응 차단 신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핵연료 제조공정 효율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성과는 네이처 발행 국제
학술
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지난 12월 게재됐다. 연구팀은 신소재를 금속 핵연료 반응 방지 부품소재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열 차폐 코팅 신소재 등 유용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 ...
단단한 금속을 유연하게…'노른자·흰자 전략’ 신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구조재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재료과학기술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 doi.org/10.1016/j.jmst.2025.04.01 ... ...
'왜 자꾸 깜빡 할까'…단기기억 오류 유발 뇌 신호 '표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신경신호 해석 기술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생물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 doi.org/10.1371/journal.pbio.300335 ... ...
방사성 물질 오염 토양 95% 정화하는 '인공 식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흙을 퍼올려 세척하는 방식보다 적용하기가 더 쉬운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게재됐다. 방사성 세슘은 체내에 쌓이면 위험하기 때문에 미리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방사성 세슘은 반감기가 길고 물에 잘 녹아 주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