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뉴스
"
학위
"(으)로 총 1,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상임 과기부 장관 후보자 "R&D예산 소통 부족…필요한 예산 반영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 후보자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
를 취득하고 1998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한 소재 분야 연구자이자 초전도체 전문가다. 그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에 대해 "저는 소재·부품을 해온 사람이지만 ICT ... ...
[과기원NOW] GIST "전문석사
학위
과정 설치 가능해진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GIST
학위
과정에 기존 학사·석사·박사 과정뿐만 아니라 '전문석사' 과정을 도입해
학위
를 수여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조항을 담았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호범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스위스 로잔 연방공대(EPFL), 한국화학연구원(KRICT) 공동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R&D예산 관련 폭넓게 소통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유 교수를 지명했다고 발표했다. 유 후보자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
를 취득한 후 지난 1998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신소재 공동 연구소장을 역임하는 등 재료공학 분야 원천기술 개발과 연구를 이어왔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대학에서 미래 연구자 양성에 ... ...
한국연구재단 뇌·첨단의공학단장에 김성현 경희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졸업하고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분자세포생물학 석사, 신경세포생물학 박사
학위
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코넬대 의대 생화학교실에서 박사후연구원, 전임강사를 거쳐 2013년부터 경희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로 근무 중이다. 김 단장은 정부에서 위탁받은 뇌·첨단의공학단 소관 지원사업의 ... ...
노태원 고등과학원장 "과학자 처우 개선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노 원장은 "90여 명의 제자를 키웠는데 약 50명은 박사
학위
를 주고 30여 명은 석사
학위
를 줬다"며 "이들과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를 실험하고 토론하며 풀어냈던 소중한 경험이 중요한 연구결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같은 경험을 연구자들이 갖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 ...
"화성 다녀오면 15년 늙어"…바이오칩 우주에 보내 노화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을 거쳐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에서 의생명공학 박사
학위
를 받았다. 2011년 미국 워싱턴대를 거쳐 현재 존스홉킨스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원 시절 김 교수는 사람의 줄기 세포와 나노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 심장을 모사한 바이오칩을 개발했다. ... ...
불어가 좋았던 문과생이 음성인식 기술 전문가 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3
어조가 다른 점이 신기했다. 특히 재밌는 불어 말소리에 푹 빠져 프랑스로 떠나 박사
학위
를 따고 벨기에 다국적 음성합성 기술 개발 기업인 L&H에서 1년간 일했다. 2009년 네덜란드인과 결혼하며 정착한 네덜란드에서 음성인식 분야 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포르투갈에 있는 ... ...
[푸드테크 뜬다]⑥ 씹지 않아도 되는 고기에 분말 죽까지…'고령친화식품'의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끝에 분말 형태를 기반으로 죽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식품공학 전공'으로 학석사
학위
를 취득하며 쌓은 지식과 10여 년간 식품 대기업에서 일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매진한 결과였다. 수백 번 직접 죽을 끓이며 실험하며 통곡물, 곡물가루, 탈지분유, 영양분 등을 적절히 배합해 죽 식감을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⑨ "네덜란드에선 육아휴직 없어도 육아·연구 병행 어렵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매우 다른 것 같다. "그렇다. 일단 충분한 계약 기간으로 안정적인 환경인데다 박사
학위
이수학점이 높지 않다. 40점인데 반은 자기계발, 반은 전공공부를 위한 학점이다. 전공공부를 위한 학점은 학회 참여, 학부생 지도 등을 해도 이수할 수 있다. 학점을 따기 쉬워 공부 부담이 적다. ... ...
"과학자 꿈 위해 자퇴합니다"…서울대 이공계 1학년 자퇴생 매년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B씨는 "학부 때 연구실 연구 경험이 많으면 석사 과정을 이수하지 않아도 해외에서 박사
학위
를 따는 데 무리가 없어 미국 명문대의 경우 1학년 1학기부터 연구 기회를 가질 것을 적극 권장한다"고 말했다. B씨는 또 "서울대에서 같은 과 1학년 50여 명 중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학생은 1명이었을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