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구상
구현
뉴스
"
형상화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차세대 가속기 후보로 꼽히는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가 작동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세계 각국은 현재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운영하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처럼 초대형 가속기를 건설하는 데 비용과 장소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길이만 27km에 이르는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표지는 특정 연구 결과 대신 전세계 대학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을 다룬 기획 기사를
형상화
했다. 11세기에 대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장 우선시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나 유클리드 같은 고대 현인들의 저작을 발견하고 연구해서 제자들에게 그 내용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후 과학 지식과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KAIST 물리학과 교수의 복잡계 이론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화했다. 김희원 작가의 시간을
형상화
한 ‘누군가의 시계’와 사진을 소재로 삼은 ‘누군가의 창문’도 눈길을 끌었다. 김 작가는 “표준연 광도센터 이동훈 연구원과 대화하면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일본 영상 예술가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표지에 아기 사진을 실었다. 오동통한 아기를 엄마와 아빠가 손으로 받쳐 육아를
형상화
했다. 흔히 아기가 태어난 뒤 부모가 아기를 돌보는 과정을 육아라고 한다. 하지만 호주 아델레이드대 의대 사라 로버트슨 교수는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논문에서 육아의 시작 시기를 다시 지정했다. ... ...
[브리지스 서울 2014] 한옥 지붕에도 수학 있다
과학동아
l
2014.07.18
종종 쓴다. 박 교수는 “올해 3월 개관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새 둥지를
형상화
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인 ‘냐오차오’가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대표적인 예”라고 설명했다. 기하학의 한 축인 도형도 건축의 주된 요소다. 박 교수는 “건축과 기하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고민에 빠뜨리는 것은 바로 울새 뒤에 희미하게 보이는 실선이다. 실선은 전자파를
형상화
한 것이다. 독일 올덴부르크대 헨리크 무리센 교수팀은 전자파가 유럽울새를 길치로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유럽울새는 몸속에 나침반 같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지구의 ... ...
남성성, 1억8000만 년 전에 생겼다
과학동아
l
2014.04.27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인간의 남성을 포함해 ‘수컷’을 만드는 염색체인 Y를
형상화
한 것이다. Y염색체에는 유전자가 고작 20여개 밖에 들어있지 않다. 1000개 이상 유전자가 들어 있는 커다란 X염색체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Y염색체는 동물 암수 모두가 ... ...
진공을 채우는 에너지, 한 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14.03.10
발표했다. 이 같은 가설은 여러 실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됐지만 진공 에너지를
형상화
해 존재를 입증한 적은 없었다. 연구진은 에너지 준위가 높은 원자들이 진공 에너지가 만드는 전자기장에 반응해 빛을 방출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먼저 지름이 17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인 ... ...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특수한 상태의 극저온 원자구름의 초유체 흐름이 이력현상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형상화
했다. 먼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상태란 기체, 액체, 고체와 같은 하나의 ‘상태’로 거의 대부분의 입자가 에너지가 가장 낮은 바닥상태에만 존재하는 상태다. 초유체 흐름이란 보스-아인슈타인 ... ...
머릿속에서도 번개가 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이 그림은 ‘일러스트레이션’ 부문에 선정된 이미지로 대뇌 피질 속 각종 신경세포들을
형상화
한 것이다. 미국 팬실베이니아대 와 존스홉킨스대 신경과학과 연구진과 아티스트가 공동작업으로 만든 이 작품은 수지상돌기, 축색돌기 등 고등학교·대학교 생물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세포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