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스페셜
"
먹이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뇌에서 또 한 번 AI원리 발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1
개 실험이다. 개에게
먹이
를 줄 때마다 종을 울리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울려도
먹이
를 기대하고 침을 흘리게 된다. 어떠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무슨 보상이 발생하는지를 뇌가 학습한 것이다. 초기 컴퓨터 과학자들은 이 알고리즘을 토대로 강화학습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처음엔 AI가 뇌를 ... ...
박쥐는 왜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온상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박쥐는 인간에 해를 끼치는 일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서식지가 파괴되고
먹이
가 없어지자 점차 사람이 사는 곳까지 드나들며 경작지나 과수원의 곤충과 과일을 먹게 되면서 인간과 접촉이 늘어났다는 점이다. 여기에 박쥐를 한약재나 식재료로 사용하는 일부 문화권의 식문화는 박쥐 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만일 생태적 지위가 비슷하면서 온도만 꽤 낮게 진화한 종이 있다면 대사율이 낮아
먹이
를 찾는 고생을 덜 해도 되고 노화가 늦게 진행돼 더 오래 살 수 있겠지만 대신 진균 감염으로 일찍 죽을 확률이 훨씬 높을 것이다. 이 식에 따르면 체온이 다른 두 포유류가 경쟁할 경우 적합도가 낮은 저온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부리가 넓적한 주걱처럼 생겼다. 습지 주변의 진흙 위를 뒤뚱뒤뚱거리며 걷다가
먹이
가 나타나면 부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잡아 먹는다. 여름에는 러시아 시베리아와 미국 알래스카 등에서 알을 낳고 봄과 가을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머문다. 한 해 동안 비행하는 거리만 8000km가 넘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작은 새우나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다. 연구팀은
먹이
의 크기는 아주 작지만, 섭취하는
먹이
의 총량은 작은 고래들에 비해 훨씬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 몸집이 거대한 비결이다. 대왕고래도 역시 몸집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거대 고래들은 사냥 실력보다는 얼마나 많은 양의 바닷물을 ... ...
"똥본위화폐로만 입장권 살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보일러로 들어가 난방 연료가 되고, 이산화탄소는 조류배양조로 옮겨져 미세조류의
먹이
가 된다. 이렇게 분리한 이산화탄소는 녹조류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고 이 녹조류를 짜내면 나오는 식물성 기름을 화학 처리하면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디젤로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하루 용변량을 20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딱정벌레목 풍뎅이과 쇠똥구리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먹이
인 소똥을 굴리는 재미난 습관을 가졌다. 물구나무를 서서 야생에 있는 소나 말, 사람의 똥을 집(땅속 굴)까지 구슬처럼 둥그렇게 굴리면서 간다. 쇠똥구리는 다른 딱정벌레들과 비교해 몸이 편평한 편이며, ... ...
[애니멀리포트]버려진 웅담채취용 사육곰에게 해먹을 선물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23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
를 찾으며 보내지만 사육곰은 하루에 한 번, 짧은 시간 안에
먹이
활동이 끝나기 때문에 많은 시간 지루하게 보내야 한다.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팀은 버려진 소방호스를 엮어서 곰이 사용할 해먹을 만들었다. 소방호스는 질기고 단단해 곰의 무게와 날카로운 발톱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인산화 반응이 과도해져 알츠하이머병에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경우도 아르기닌을
먹이
면 일산화질소 수치가 회복돼 타우 인산화가 억제됐다. 타우 단백질(파란 실)은 미세소관(원통)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인산화(빨간 공)가 지나치게 일어나면 미세소관에서 떨어져 서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서로를 닮는 '뮐러 의태'다. 이들은 계통학적 분류에서 전혀 관계가 없고 자기들끼리도
먹이
관계도 없다. 다만 포식자가 같아 독이 있거나 맛이 없게 보이도록 무늬를 진화하는 과정에서 색깔과 패턴이 서로 비슷해졌다. 뮐러 의태는 베이츠 의태와 달리 누가 누구를 따라했는지 분명하지가 않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