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스페셜
"
새로운
"(으)로 총 3,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슈가’ 제품은 걱정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지난해 3월 프랑스의 연구팀이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성인 10만여 명의 식단 생활방식 건강 정보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평소 많은 양의 아스파탐을 섭취한 참가자가 그렇지 않은 참가자보다 암 위험이 15%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색 형광빛으로 보는 DNA 접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23.07.01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29일 녹색 형광빛이 나는 DNA 모방체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왼쪽 상단에는 ‘빛나는 예시’라는 문구를 기입 ... 상호작용 없이 정교한 3D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핵산 조직의
새로운
원리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회춘을 유도하는 것에 대한 안정성은 오랜 연구를 통해 검증해야할 것이다. Gαq와 같은
새로운
인지증강기술을 다양하게 검증하기 위해서는 결국 다시 모델생물로 돌아와 부작용과 안정성을 시험하게 되는 필연적 반복이 생겨난다. 그 과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 수 밖에 없다. 그것을 지켜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지금 본격적인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 땅 밑에 수소가 있다는 건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지금까지 석유회사들이 뚫은 시추공만 수백만 개에 이르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의 관심은 석유와 메탄 같은 탄화수소였기 때문에 수소는 분석조차 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잡고 있었다. 일부는 아즈텍, 잉카, 마야 등의 큰 문명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유럽인들은
새로운
땅을 차지하기 위해 인디언들을 정복해 갔다. 1683년 프랑스의 로베르 드 라살(Rene-Robert Cavelier de La Salle)이 자신이 지나간 지역을 ‘루이 14세의 땅’이라는 뜻으로 루이지앵이라 불렀다. 미국식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아무도 정체를 알 수 없는 ‘평생교육·외국인 교육기관’을 만들어내겠다는
새로운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이 돼버리고 있는 셈이다. 당장은 교육부의 질풍노도와 같은 교육개혁의 광풍(狂風)에서 벗어나 있는 수도권의 대학도 안심할 수 없는 형편이다. 첨단분야의 ‘계약학과’가 대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
2023.06.03
시간들 안에서도 내 마음은 끊임없이 단련중이었고 더 단단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어려움이 찾아오면 물론 또 다시 힘들겠지만 마음이 훈련했던 흔적들 덕분에 이전보다는 조금 덜 아플 수 있다. 파도가 몰아치면 다시금 허우적대겠지만, 이 파도가 사실은 별 것 아닐 수 있음을 이전에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새로운
시대를 열게 하기도 했다. 래리는 일찍부터 경험이 많은 데다 성격도 대담하여
새로운
도전도 즐겨하는 성격이었다. 그는 사지절단시 고관절 부위를 절단한 최초의 의사였고, 심낭을 절제하여 심장에 쌓인 체액과 고름을 제거하기도 했다. 또 상처 부위에서 죽어가고 있는 조직과 이 부위에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성능 저하 문제가 촉매층과 확산층 계면에서 바인더의 함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이를 규명했다. 또 티타늄 표면에 존재하는 자연 산화막의 전자띠가 굽는 '띠굽음 현상'이 완화된 계면을 설계하는 경우 이리듐 함량을 10분의 1수준으로 저감시켜도 동일한 수전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소자 내 과열 해결방법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금속과 유전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인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활용했다. 이
새로운
열전달 모드는 기판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면 발생한다. 이를 통해 소자 제작과정에 활용성이 높으며 넓은 면적에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연구팀은 반경이 약 3cm인 100나노미터 두께의 티타늄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