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바이올로지 제공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
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 ...
[현장! CES2022] CES 전시장에 등장한 첨단 성기능 장애 해결사
2022.01.07
말했다. 이날 가장 눈에 띈 장치는 디지털 치료제다. 디지털 치료제는 화학물질이나
생물학
적 소재 대신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약의 한 형태다. 미국 스타트업 '모라리메디컬'이 개발한 디지털 치료제 '몰'과 착용 예시. 성기능 저하 또는 장애를 겪는 남성들을 위해 ... ...
코로나19와 독감 동시 감염 '플루로나' 사망 위험 6배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6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 감염되면 증상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스라엘
생물학
연구소 감염병부서 연구팀은 쥐에게 독감과 코로나19를 모두 감염시키는 실험 결과 코로나19에만 감염됐을 때보다 둘다 감염됐을 때 사망할 위험이 1.6배 가량 높아진다며 접종을 맞아 위중증화를 막는 ... ...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② 바이러스 침입보다 더 무서운 간접 공격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없어 정확한 과정을 알 수 없었다. 샌딥 로버트 다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
생물학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올 때 후각상피 세포를 망가뜨리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2020년 7월 3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후각상피 세포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코로나19로 망가진 폐, 왜 그렇게 치명적일까
연합뉴스
l
2022.01.03
폐 손상→허파꽈리 줄기세포 분화 '궤도 이탈' 미국 UCSF 연구진,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
'에 논문 인체 내에서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곳은 호흡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폐 감염증을 일으킬 때 핵심 역할을 하는 건 대식세포(macrophages)다.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킨(IL-1 베타)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
2021.12.30
128(2), 695-698.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
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 ...
[랩큐멘터리]단백질 기능 결정하는 구조 분석해 신약 개발 속도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경쟁력이 강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기초연구에 속하던 구조
생물학
연구는 최근 신약개발로 이어지는 등 인류에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연구로 변모하고 있다. GPCR은 전 세계 판매수익 상위 200위 신약 중 25%가 목표로 하는 단백질이기도 하다. 조 교수는 “직접적으로 신약을 개발하지 ... ...
백신 안통하는 오미크론 변이...새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화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어렵다는 분석이다. 트레보 베드퍼드(Trevor Bedford) 미국 프레드허친슨암연구센터 진화
생물학
연구원은 “입원과 사망률을 높이는 데 오미크론 변이가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며 “독성이 약해질 것이라는 주장은 아직 입증하기엔 이르다”고 말했다. 다른 호흡기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처럼 ... ...
코로나 알약 1년여만에 초고속 개발 비결은 '투자자 부부의 직감'
동아사이언스
l
2021.12.22
홀먼 부부가 몰누피라비르를 개발한 과정을 소개했다. 몰누피라비르는 원래 냉전 시절
생물학
무기에 노출됐던 군인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약이었다. 미국 에모리대 연구팀은 2018년 구 소련과 미국이 베네수엘라 뇌염 바이러스를 변형시킨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항한 치료물질(EIDD-2801)을 ... ...
’기침이 먼저냐 열이 먼저냐’ 코로나19 변이 따라 증상 순서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코로나19 증상의 순서를 예측하는 수리 모델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 전산
생물학
’에 17일 발표했다. 개발한 수리 모델은 지난해 1~5월 사이 미국에서 발생한 확진자 37만3883명에 대한 데이터와 같은 기간 중국에서 발생한 확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해당 기간 중국은 원조 코로나19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