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스페셜
"
학부
"(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외식 장려 남발했다가 코로나 확진자 급증한 영국이 주는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있다. 일본 정부의 감염병 대응 고문으로 활동한 니시무라 히로시 일본 교토대 공중보건
학부
교수 연구팀은 올해 1월 국제학술지 ‘임상의학 저널’에 고투 트래블 캠페인 기간 코로나19 발생률이 시작 전 통제 기간보다 3배 높았다고 발표했다. 한국도 지난해 말 외식과 숙박 등에 사용할 수 있는 ... ...
'부자들' 싫지만 빌 게이츠·워런 버핏을 좋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1.10.25
훨씬 관대한 태도를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빌 제시 워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경영
학부
교수 연구팀은 총 8건의 심리 실험을 통해 부자 집단과 개인을 사람에게 노출시켰을 때 더 관대한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1971년 9월 생명과학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논문이 실렸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생물
학부
의 시모어 벤저 교수와 대학원생 로널드 코놉카는 생체시계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하루 24시간 주기 리듬을 잃어버린 초파리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변이가 일어난 유전자에 주기의 ... ...
소프라노 조수미 KAIST교수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석학교수에 임명했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2022년 1학기부터
학부
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KAIST는 14일 오후 KAIST 학술문화관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조 교수의 임명장 수여식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실시간 행사로 진행했다. 유럽투어를 ... ...
금성에는 바다가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년 전 물이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에멜린 볼몬트 스위스 제네바대 천문
학부
교수는 “지구에 물이 없었다면 생명체가 출현하는 데도 큰 걸림돌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미국 군사연구소 배터리과학분과 연구원과 왕천쉥 미국 메릴랜드대 화학 및 분자생물
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아민 기반 킬레이트를 배터리 전해질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마그네슘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를 kg당 412Wh의 높은 수준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8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2021노벨상]벽 허문 지구과학·박해 피한 이민자 수상자들…올해도 드라마는 있었다
2021.10.08
발표했다. 리스트 교수도 2008년 성균관대 자연과
학부
초청으로 방문교수를 했다. 당시
학부
생이던 배한용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는 특강을 듣고 감명받아 ‘훗날 반드시 함께 일하고 싶다’는 편지를 보냈고 실제 이후 리스트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향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발하는 순간이라고 보여진다. 유기촉매 연구의 시작 필자는 앞서 언급하였듯, 대학
학부
과정 3학년 때에 리스트 교수를 만나 유기촉매에 관하여 알게 되었다. 당시만 해도 인터넷에 한국어로 된 유기촉매에 관한 기사가 거의 없을 만큼, 매우 생소한 분야였다. 함께 내한했던 막스플랑크 연구소 ... ...
지구과학 안주던 노벨상, 기후변화 앞에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수상자 폭이 넓어지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손석우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
학부
교수는 “이번 수상자 결과가 전 세계 대기과학과 해양학, 지구과학 연구자들에게 동기부여가 많이 될 것”이라며 “예상치 못한 결과인 만큼 노벨위원회가 지구과학을 인정해준거 같아 몹시 ... ...
노벨물리학상에 기후변화 연구 급물살 만든 복잡계 물리 연구 선구자들 3명(재종합)
2021.10.05
빈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기훈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파리시 교수는 복잡계 시스템에서 스핀을 이용해 초기 연구를 했는데 이후 복잡계 문제가 기후 문제 뿐 아니라 생물학이나 뉴로사이언스, 머신러닝까지 연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931년 일본에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