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옷 맵시를 중시한다면 몸에 착 달라붙는 히트텍은 참 매력적인 물건이다. 발열 기능을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면 더욱 만족스러운 ‘이너웨어’가 되지 않을까 ...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SEAD)이 가장 대표적인 임무다.이를 위해서는 우선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춰야 한다. 적의 GPS 교란 시도를 무력화해야 하기 때문에 지형지물을 읽고 스스로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이런 무인전투기는 여러 대가 편대를 이루고 편대 내에서 실시간으로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훤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박쥐, 파리, 잠자리 무인기원격 조종이나 자동 항법기능으로 비행은 물론 임무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새·곤충 모방 비행체 중 가장 작은 크기는 50cm 정도다. 기술의 한계 때문에 아직은 더 소형화되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무인기는 어떤 모습일까.나노 기술이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터넷 공유기를 꽂기만 하면 와이파이 통신이 이뤄지는 이유도 복잡한 제어 시스템 기능이 공유기(AP)에 없기 때문이다.정리하자면 셀룰러 통신은 관리와 제어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통신이 끊기지 않는다. 하지만 와이파이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신 통신 간섭을 일으킬 확률이 ...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제초제에 강한 옥수수를 쥐에게 2년 동안 먹였더니 쥐에서 종양을 비롯한 각종 장기 기능 이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다시 GMO에 대한 논란이 강하게 일어났다. 우리나라는 이미 이 GM 옥수수를 2002년부터 식용으로 수입하고 있다. 수입되는 식용 옥수수의 절반이 GM 옥수수다(2011년 기준).아직 안전성 ...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호흡하기 편하게 만들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를 찾을 수 있었지요. 울혈성 심장기능상실이나 만성피로증후군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이렇게 이야기하면 원적외선이 아주 몸에 좋은 것 같지만, 논문에는 보통 아직 제한적인 증거일 뿐이며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적혀 있습니다.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한다.현재 수천 종 혹은 수만 종의 비번역 RNA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중 기능을 잘 알고 있는 것은 100여 종 미만이다.비번역 RNA 연구는 현대 생물학의 주요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비번역 RNA 중 최근 10여 년간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필자도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 ...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속도를 정확히 제 1우주속도(초속 7.9㎞)에 맞춰야 한다.이 점을 놓고 일부에선 ‘별다른 기능이 없는 저궤도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렇게 높은 고도에, 지구표면과 정확히 수평이 되도록 위성을 올려놓을 이유가 있느냐’는 의문도 나온다. 이런 원 궤도는 ICBM 개념에서 보면 ...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살펴본다. 천연물 신약후보를 가리고 있는 것이다. 신약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식물은 기능성화장품이나 영양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연구원들이 채집한 약용식물에는 세포독성 효과가 있는 엘레판토푸스(Elephantopus mollis), 뱀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이 있는 아리스톨로키아(Aristolochia grandiflora), 뿌리째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열 새로운 미래가 기대된다.스스로 결합해 구조를 이루는 자기조립 성질은 DNA에 연산 기능만 준 것이 아니다. 벽돌처럼 견고하고 털실처럼 유연한 성질을 갖게했다.그 결과, 유연하고도 섬세한 미래형 나노 소자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여기 현미경 사진을 한번 보세요.”이종범 서울시립대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