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2. PC와 PC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연결한다면, 즉 가까이에 놓여 있는 몇대의 컴퓨터를 전화선과 모뎀으로 연결하거나
단지
케이블만으로 연결한다면(이를 널모뎀이라 한다) 자료 파일 몇개를 주고 받는데는 쓸모가 있겠지만 본격적인 의미의 네트워킹과는 거리가 멀다. 한대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깔아 놓고 여럿이 이를 같이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아이들의 죽음'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사후 부검을 해도 그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단지
임산부의 흡연 등이 유아 돌연사의 위험 요소로 지적돼 왔을 뿐이다· 이미 19세기 노르웨이의 사회학자들은 유아 돌연사를 빈곤과 알코올 중독, 그리고 문맹과 비견되는 현상으로 지적해 왔다.전문가들은 영아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저배율의 광시야 망원경으로 휘젓다 보면 밝은 성운 성단들이 알아서 시야에 들어오므로
단지
감상만 하면 된다.■ M20(삼렬성운)보름달만한 크기를 갖는 산광성운으로서 삼렬성운이라 불린다. 중심으로 부터 나오는 암흑선에 의해 성운이 세갈래로 찢겨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이 ... ...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점을 들 수 있다.그러나 2세대 컴퓨팅 방식에도 한계는 있다. 즉 파일서버에
단지
자료 보관이나 관리 기능만을 주었을 뿐 아무런 처리 능력을 부여하지 않은 결과 파일서버는 각 워크스테이션에서 발생하는 무질서한 컴퓨팅을 제어 통제할 능력이 없고 전체적인 시스템은 보안성 안전성 면에서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 계산 결과에 따르면 충돌한다 해도 우리는 충돌 장면을 직접 목격하지는 못한다.
단지
혜성이 목성 뒤로 사라지는 장면만 목격하게 되는 것이다.만약 유맨스의 계산이 정말로 정확하다면, 독자들은 충돌 시각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아무리 좋은 망원경을 보유 하고 있다 해도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훨씬 구경이 커서 눈에 치명상을 줄 정도의 복사선을 모으기 때문이다. 망원경의 구경이
단지
50mm라도 눈보다 1백배나 많은 자외선과 X선을 모을 수 있다.직시법과 투영법태양의 관측은 주로 흑점을 기록하는 것인데 접안경에 태양관측 전용 선글라스를 끼우고 직접 들어다보는 '직시법'과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밝힌 열의 본질은, 열이라는 것이 어떠한 물질의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물질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원자나 분자)들의 운동상태의 차이라는 것이다.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하면 할수록 뜨거운 물체이며 분자의 운동이 느리면 느릴수록 차가운 물체라는 것이다.모든 물체에는 자기 온도에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아마도 플룸들은 그 경계지역에서 생겨날 것이다. 그러나 두 부분의 유일한 차이점은
단지
하부 맨틀의 밀도가 크다는 점이므로, 대부분은 아니지만 많은 지판이 바닥까지 침강한다고 학자들은 믿고 있다.학회에서는 해양판들이 상부 맨틀의 바닥에 모여 보다 밀도가 큰 상태가 된 다음에 결국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기층일 것이라는 증거가 있다. 그리고 이 기층들은 원래 크기가 7-30cm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관측자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3-4초 정도로 작게 보이는 요철들로 이루어져 있다.19세기 말의 뛰어난 시각관측자인 피커링은 5인치에서 1백인치까지의 망원경으로 광범위한 실험을 시행했다. 그는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진전을 거듭하여 라이트형제의 처녀비행 후 66년, 그리고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후
단지
12년 만에 미국의 암스트롱이 달착륙기 이글호의 계단을 내려 지구 태초의 동반자 달의 표면에 첫발을 내디뎠다. 인간의 꿈, 우주공간의 정복이 성취되었던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환상과 창의력의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