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해요. 사람과 같이 먹고, 자고…. 생활습관이 같으니까 살도 같이 찌는 거죠, 뭐.통통하면
보기
좋지 뭘 그러냐고요? 아니에요. 우리도 뚱뚱해지면 성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져요. 관절염 같은 질환에 시달리게 되고 고혈압에 걸려요. 더구나 우리는 아프다고 말을 할 수 없잖아요? 주인이 알아챌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겨울 날씨의 대표적인 ‘삼한사온(三寒四溫)’.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진 걸까요. 한번 한파가 찾아오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서 삼한사온이란 말이 무색해졌습니다.” -2011년 1월 6일 YTN“내일 아침에는 오늘보다 기온이 더 떨어지면서 이번 한파가 절정을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분석해볼까 했는데 MCM-41을 구할 수가 없더군요. 고민을 하다가 저희가 직접 합성해
보기
로 했습니다.”물리화학자로 구조분석만 해온 유 교수가 다공성 물질의 합성에 뛰어들었다. 나이 마흔이 돼서야 처음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 독자적으로 실험을 설계한 것이다. 막상 부딪쳐보니 다공성 물질의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게임적 디자인이 숨어 있다고 설명한다.이밖에도 게임 디자인의 현실 성공 사례는 찾아
보기
쉽다. 지난해 말 스타벅스코리아는 연말 사은품 ‘다이어리’ 하나로 무려 164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크리스마스 음료 3잔을 포함해 17잔을 마시면 다이어리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통해서다. 증정된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로빈슨 박사가 웃으며 대답했다. “스위스는 문화적으로 남자도 앉아서 ‘일을
보기
’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어린이가 앉기에는 너무 크죠.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적합한 모델을 고안 중입니다.”빙하 실시간 감시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그런데 알프스 빙하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동경할까?청소년들이 아이돌 스타를 동경하는 이유는 자신을 아이돌과 동일하게
보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거울 뉴런’으로 설명할 수 있다. 거울 뉴런은 이탈리아 파르마대학교 지아코모 리촐라티 교수팀이 실험을 통해 발견했다. 거울 뉴런은 다른 사람이 하는 행동을 자신이 하는 것처럼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리는 과학자들이 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은 뒤
보기
좋게 색깔을 입힌 바이러스들을
보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색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거예요.바이러스에 색이 없다니…, 놀라워요! 어떻게 바이러스를 유리 공예품으로 만들 생각을 하셨나요?저는 태어날 때부터 색맹이었어요. 그래서 사람들이 ... ...
같은 모양으로 블록 나누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있습니다. 이 정사각형을
보기
와 같이 4개의 똑같은 모양으로 나눌 수 있는 방법은
보기
를 포함해 몇 가지일까요? 단, 나눠진 영역의 상하좌우 위치만 다른 경우는 한 가지로 생각하며 흰 영역이 검은 영역에 의해 3조각 이상으로 분리되면 안 되지만, 한 영역으로 이어져 있는 건 괜찮습니다. 지난호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공전주기는 지구보다 조금 짧은 260일이다. 케플러-22b에 반드시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보기
는 어렵다. 목성이나 해왕성처럼 행성 표면이 기체로 이뤄져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미 만들어져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지난 25년과 앞으로 25년의 비전을 들어
보기
위해 포스텍에서 만난 김승환 연구처장은 “복합물질연구센터의 경우 방사광가속기에 전혀 새로운 형태의 빔라인을 공동으로 지을 예정”이라며 “가속기 성능 개선이 완료되면 막스플랑크재단과 함께 세계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