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d라이브러리
"
생태계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핵무기의 파괴력 그날 이후의 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계속된다. 또한 대류권의 조성이 바뀌고 오존층이 파괴되며 자외선이 증가한다.△ 해양
생태계
의 영향 : 지상보다는 피해가 적지만 해안과 강어귀는 특히 큰 타격을 입는다. 방사능의 먹이연쇄가 진행되고 햇빛감소로 식물플랑크톤의 대부분이 사멸한다.△ 농업에의 영향 : 직접 전쟁에 말려들지 ... ...
화학반응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기술수준으로 볼 때 이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오늘날 화학공업에서 사용하는 촉매는
생태계
속의 효소촉매와 비교할 때 가히 원시적이라 할 정도로 뒤떨어져 있다.이러한 원시적인 공업촉매지만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연간 공업촉매 생산액은 15억달러에 ... ...
우주에서의 생활을 미리 해본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완전히 밀폐되어 물이나 대기의 순환과 에어컨디션에 태양전지가 쓰일뿐 소위 폐쇄
생태계
가 영위된다. 2년간에 걸친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앞으로 인류가 우주공간이나 달 화성등에서 살기 위한 모델이 되는 것이다. 그때문에 농약을 쓰지않고 천적으로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이나 병충해에 강한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지적되고 있다. 작년 10월 미국립 과학재단은 두 팀의 과학자들이 남극의 오존감소가
생태계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를 지원키로 결정한 바 있다. 「이상적」화학물질 CFC가 원인 오존은 잘 알려진대로 산소원자 세개가 모인 분자(O₃). 산소(O₂)는 자외선에 쪼이면 매우 반응성이 높은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많은 개체수의 생태특성 이러한 환경적인 특성 때문에 몇가지 특수한 생물이 남극의
생태계
를 특징지운다. 대표적인 생물은 펭귄 물개 고래 크릴 및 몇 종류의 새 등. 종류는 적지만 개체수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가령 남극의 신사라고 하는 펭귄은 7종류 1억2천여마리가 남극대륙 곳곳에 살고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류(낙동강 죽림강 지류)등지에 몰려들게된다. 그러나 앞으로 한강도 점차 안정된
생태계
의 하천으로 회복된다면 다른 한국의 주요 하천-소양강이나 금강 등과 같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철새들이 찾아 들게 될 것이며 다양성을 상실한, 몇종만이 흔한 단조로운 종의 1만 내외의 수금류가 찾아올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또 이번 대회에서는 다음 대회를 오는 91년 화와이에서 열기로 결정했으며 ① 해안
생태계
보존 ② 삼림보존전략 수립 ③ 멸종위기에 있는 생물의 국제교류 ④ 과학의 평화적 이용등 9개항의 대정부 권고사항도 채택했다. ■ 제8차 아시아 태평양 암학회 학술대회9월14일부터 19일까지 서울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실수로 만들어진 병원성 미생물이 인간을 공격해 올지도 모르는 일이며 또 오묘한 자연
생태계
의 파괴를 초래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이런 연구는 자연의 섭리에 대한 윤리적인 책임의식을 가지고 행해져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도전 부르는 인기분야 이상과 같은 분야가 미생물학과 생명공학의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연구대상이 된다. 달팽이가 많이 모여 있다거나, 나방류의 번식이 활발할 때 과연 어떤
생태계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쓰레기나 오물처리에 관련된 공해문제도 박물관팀이 자주 다루는 분야. 수천m 깊이의 바다속에 버릴 경우, 생물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특히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따라 환경에 따른 관심은 더욱 늘어나기 마련. 따라서 도시공학과 폐기물 처리 자연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은 새로이 강조될 것이다. 한편 자원고갈의 위협에 맞서 태양에너지 풍력 생체에너지 조력 지열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원과 핵융합, 해양자원탐사 등이 앞으로 중시될 것은 필연적이라 하겠다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