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d라이브러리
"
생태계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유출 등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새는 자연
생태계
에서 가장 민감한 존재입니다. 또
생태계
의 가장 눈에 잘 띄는 징표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요. 여러분들이 탐사를 통해 새에 대한 애착을 갖게 된 것이 무엇보다 기쁩니다. 아뭏든 이번 탐사를 통해 여러분은 철새의 대변인이 된 셈입니다. ... ...
남해안의 겨울철새 도래지를 살피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곳의 개발이 지속될 경우 세계최대의 겨울철새 도래지로 꼽히는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가 크게 교란될 우려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최근 국내에서 가장 큰 철새도래지로 부상한 주남저수지에서 탐사대는 많은 수의 고니류 오리류 기러기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거제도 연안의 해조(海鳥)류 ... ...
우주에서의 생활을 미리 해본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완전히 밀폐되어 물이나 대기의 순환과 에어컨디션에 태양전지가 쓰일뿐 소위 폐쇄
생태계
가 영위된다. 2년간에 걸친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앞으로 인류가 우주공간이나 달 화성등에서 살기 위한 모델이 되는 것이다. 그때문에 농약을 쓰지않고 천적으로 해충을 구제하는 방법이나 병충해에 강한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지적되고 있다. 작년 10월 미국립 과학재단은 두 팀의 과학자들이 남극의 오존감소가
생태계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를 지원키로 결정한 바 있다. 「이상적」화학물질 CFC가 원인 오존은 잘 알려진대로 산소원자 세개가 모인 분자(O₃). 산소(O₂)는 자외선에 쪼이면 매우 반응성이 높은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많은 개체수의 생태특성 이러한 환경적인 특성 때문에 몇가지 특수한 생물이 남극의
생태계
를 특징지운다. 대표적인 생물은 펭귄 물개 고래 크릴 및 몇 종류의 새 등. 종류는 적지만 개체수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가령 남극의 신사라고 하는 펭귄은 7종류 1억2천여마리가 남극대륙 곳곳에 살고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또 이번 대회에서는 다음 대회를 오는 91년 화와이에서 열기로 결정했으며 ① 해안
생태계
보존 ② 삼림보존전략 수립 ③ 멸종위기에 있는 생물의 국제교류 ④ 과학의 평화적 이용등 9개항의 대정부 권고사항도 채택했다. ■ 제8차 아시아 태평양 암학회 학술대회9월14일부터 19일까지 서울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실수로 만들어진 병원성 미생물이 인간을 공격해 올지도 모르는 일이며 또 오묘한 자연
생태계
의 파괴를 초래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이런 연구는 자연의 섭리에 대한 윤리적인 책임의식을 가지고 행해져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도전 부르는 인기분야 이상과 같은 분야가 미생물학과 생명공학의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류(낙동강 죽림강 지류)등지에 몰려들게된다. 그러나 앞으로 한강도 점차 안정된
생태계
의 하천으로 회복된다면 다른 한국의 주요 하천-소양강이나 금강 등과 같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철새들이 찾아 들게 될 것이며 다양성을 상실한, 몇종만이 흔한 단조로운 종의 1만 내외의 수금류가 찾아올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따라 환경에 따른 관심은 더욱 늘어나기 마련. 따라서 도시공학과 폐기물 처리 자연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은 새로이 강조될 것이다. 한편 자원고갈의 위협에 맞서 태양에너지 풍력 생체에너지 조력 지열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원과 핵융합, 해양자원탐사 등이 앞으로 중시될 것은 필연적이라 하겠다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연구대상이 된다. 달팽이가 많이 모여 있다거나, 나방류의 번식이 활발할 때 과연 어떤
생태계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쓰레기나 오물처리에 관련된 공해문제도 박물관팀이 자주 다루는 분야. 수천m 깊이의 바다속에 버릴 경우, 생물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특히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