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상세하게 복원해낸 과거 사건은 읽거나 듣는
사람
에게 감탄과 함께 묘한 쾌감을 준다. 디테일의 ... 세세하게 알고 구체적으로 묘사해 주면 잘 모르는
사람
들은 굉장히 유식하다고 생각한다. 별자리를 예로 들어보면, 북두칠성이나 오리온자리밖에 모르는
사람
에게 큰곰자리나 천칭자리 발견한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기계적으로 쉽게 바꿀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사람
이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것과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은 원리가 완전히 다르다. 헬리콥터를 조종할 때는 회전날개의 방향을 전후좌우상하로 바꾼다. 2개의 로터가 내는 추력을 바꿔주며 동체를 움직인다.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만남이 잘 될 것인지, 안 될 것인지 예측해 보자. 여기 좋아하는 두 남녀가 있다고 하자. 두
사람
은 서로 사랑하면 할수록 데이트를 많이 한다. 이걸 왼쪽 그래프에 나타내면 결과값인 z축이 ... 길 q를 따라 움직인다. 곡면상의 길 q는 위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데이트의 횟수도 늘어나고 두
사람
은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통해 체력이 좋아질 뿐 아니라 자신감도 커지거든요. 낯선
사람
을 만나거나 새로운 환경에 나서는 걸 두려워했던
사람
들도 경기에 참가하면서 사회에 점점 적응하고 있어요 ... 빙상장 대신 나무나 우레탄이 깔린 경기장에서 합니다.
사람
이 맞아도 아프지 않도록 말랑말랑한 퍽을 사용해요 ... 2012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개념을 배운다. 현대 문명에 끼친 영향만으로 보자면 튜링은 지성사에 길이 남을
사람
이 되었다. 생명현상의 수학적 질서튜링은 청년기에는 이론 컴퓨터의 개념을 만들어 내는 데 몰두했지만, 말년에는 생명 현상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집중했다. 특히 피보나치수열과 같이 생명현상에 ... ...
성층권에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올라갔던 카메라에는 지구의 모습이 1086장이나 찍혀있었다. 박효진 학생은 “정말 해본
사람
만이 느낄 수 있는 뿌듯함을 느꼈다”며 마치 “더 큰 우주에 다녀온 듯 한 체험을 했다”는 소감을 밝혔다.프로젝트를 하면서 학생들은 부쩍 성장했다. 처음엔 서먹했던 친구들도 더 친해졌다. 3학년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예상됐다.그런데 실제 실험에서는 반대로 빛을 비추자마자 전자가 방출됐다.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
은 아인슈타인이었다.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에 플랑크의 양자가설을 적용한 ‘광량자설’을 ... 만들었다.보어의 모형에서 전자는 특정한 에너지 값만 가질 수 있다.이는 마치 아파트에 사는
사람
이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자국 기술로 우주발사체를 만들어 위성 발사에
성공한
국가)’ 가입을 노리던 우리나라는 북한에 ... 1981년 복제품인 ‘화성 5호’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
다. 또 1987년엔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는, 사정 ... 군사용 미사일에 쓰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
이 많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건 오해다.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암스테르담대의 해부학자였던 외젠 뒤부아 역시 그렇게 생각한
사람
중 하나였고요. 뒤부아는 최초의 인류가 지금의 유인원과 비슷한 곳에 ... 인류의 조상이 머리보다 다리가 먼저 발달했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
들은 거부감을 느꼈습니다. 머리가 작고 지능이 낮은 상태로 아무리 잘 걸어봤자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따라서 RNA와 달리 DNA는 십억 개 단위까지 염기서열을 늘어놓을 수 있다.현재 23쌍의 염색체를 지닌
사람
의 염기서열 수가 1벌에 30억 개다(한 쌍 있으므로 총 60억 개).DNA 중합효소가 오류 없이 복제할 수 있는 서열 수 단위와 비슷하다.
사람
을 포함, 동식물이 나타날 수 있던 것도 어느 정도는 DNA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