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입었다.]캄캄한 밤에 물건을 본 기억을 떠올려봅시다. 어두운 밤에는 색을 감지하는 원추
세포
가 활성화되지 않아서 우리는 색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이때 만약 노란색 바나나를 본다면 우리는 어떻게 느낄까요? 어느 어른도 색이 없다고 해서 바나나를 연두색이나 빨간색으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
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국내 연구진이 환자의 피부
세포
나 혈액
세포
를 이용해 단기간에 ‘맞춤형 신경줄기
세포
’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와 강스템바이오텍 ... 기존에 몇 달씩 걸리던 신경줄기
세포
제작기간을 1~2주로 단축시켰다는 점에서 줄기
세포
치료제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갔다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한 일은 한국의 광학 연구 수준이 그만큼 높아졌음을 뜻한다.
세포
홍카넨 유럽광학회장은 “한국이 발표하는 논문은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며 협력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3D 프린터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심 교수와 조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관
세포
나 근육
세포
등을 도면대로 출력해 인공 장기를 만드는 연구도 시작했다. 연구팀은 장기를 화학처리해 만든 ‘바이오잉크’를 3D 프린터에 넣어 3차원 구조물을 출력한 뒤, 출력물에서 생명활동이 이뤄진다는 증거를 ... ...
건강관리 철저해도 암 걸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때 우연히 발생하는 돌연변이
세포
가 일정량 이상 쌓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세포
분열이 활발한 조직일수록 암이 발생할 확률도 높았거든요. 보겔스타인 교수는 “암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보다 조기 검진”이라고 밝혔답니다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자란
세포
는 37℃에서 자란
세포
와 달리 인터페론을 잘 만들어내지 못했지요.온도에 따라
세포
의 면역력이 달라진다는 건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았던 사실이에요. 연구팀은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온도와 면역 반응의 관계를 더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다른 곳보다 ... ...
새해에는 작심66일! 굿바이 게으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버리고 새 계획에 맞는 행동을 꾸준히 하는 일이 쉽지 않답니다. * 신경전달물질 : 신경
세포
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게으름은 타고 난다?게으름이 타고난 것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게으르게 만드는 유전자가 있다는 얘기지요.미국 미주리대학교 수의과 프랭크 부스 교수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가능한 생체조직부터 인체에 삽입하는 바이오 장기까지 다양하다. 또 몸 안에 들어가 암
세포
를 잘라내고 끊어진 혈관을 잇는 나노로봇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4D프린팅 연구는 한동안 지금처럼 소재 개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현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많지만, 앞으로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 ...
[과학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류의 특정 유전자를 형광으로 표지한 뒤 이 유전자가 달팽이의
세포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달팽이와 달팽이 먹이 사이의 게놈을 비교하면 먹이의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이 관찰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를 직접 증명한 것은 이번이 ... ...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수압은 우리가 느끼는 대기압의 약 800배나 되거든요.연구팀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세포
내 트리메틸아민산화물로 버틸 수 있는 최대 수심은 약 8200m라고 해요. 탐사에 참여한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교의 앨런 제이미슨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물고기보다 더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는 없을지도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