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어 앉았다 일어서거나 다른 곳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도 영국 건축가 론 헤론의
아이디어
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헤론은 1964년에 움직이는 도시 ‘워킹시티’에 대한 상상을 발표했다. 워킹시티는 프래그멘테이션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 건물을 자동차처럼 장소와 상황에 따라 조립하거나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학생들이 유리하다. 이 분야는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새로운 주제를 찾아 창의적인
아이디어
로 연구하는 학생이 필요하다. 플라즈모닉스를 활발히 연구하는 세계 연구팀과 교류하기 위해 영어능력 또한 필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대학원에 올라가면 비선형광공학,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빨리 풀어 시간을 줄이고 어려운 문제에 시간을 더 할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물리는
아이디어
싸움이다. 개념이 없으면 필요한 공식과 풀이과정이 떠오르지 않아 문제를 풀 수 없다. 중위권 학생들은 실전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다져야 한다. 한두 문제를 제외하고는 복잡한 수학적 계산은 없다.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혁신적인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단지 교육의 효과만은 아니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
를 실험하는 벤처기업이 생존 가능한 산업 환경이 뒷받침돼야 한다.중앙대 신문방송학부 이재신 교수는 “기술 개발자가 아닌 IT산업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리더를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춰야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거미 브로치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느냐고 묻자 “거미 브로치가 없으면 문제를 풀 때
아이디어
가 떠오르지 않는다”며 징크스라고 밝혔다.그는 두 가지 업적을 인정받아 필즈상을 수상했다. 첫 번째는 볼츠만 방정식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평형 상태에 있는 기체에 열을 가하면 기체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뿐 아니라 과학자들이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 투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세상을 바꾼
아이디어
와 위대한 생각들이 어떤 맥락에서 탄생했는지, 지금 우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등을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과학은 한 가지 사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실들을 불러온다. 예를 들면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많이 했어요. 서로서로 의견을 말해주고 실험도 도와주고, 그 과정에서 상상도 못했던
아이디어
가 떠오르는 거죠. 우리 실험실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해요. 이제 과학도 그게 기본이거든요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무엇보다 가정용 게임기나 PC게임에 비해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발자가 톡톡 튀는
아이디어
를 적용해 보기 쉽다.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연동한 게임도 나와 있다.박성준 교수는 “예전과 달리 이제는 게임을 할 수 있는 기기와 인터페이스가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잘 풀지만 응용문제나 증명문제는 잘하기 어려워요. 또 수학문제를 풀 때 수학에서만
아이디어
를 얻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물리나 화학에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를 공부해야해요”라고 수학공부 방법을 알려 주셨어.수학문제를 해결하는 데 물리나 화학이 도움된다는 이야기는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라이프니츠의 미적분그렇다면 미적분은 누가 발견했을까? 오래 전부터 있었던 적분
아이디어
와 움직임을 연구하는 미분이 만나 미적분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탄생했다. 미적분을 발견한 사람으로는 영국의 뉴턴과 독일의 라이프니츠가 동시에 거론된다. 뉴턴은 1665년부터 자신이 만든 유율법이라고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