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뉴스
"
시스템
"(으)로 총 8,970건 검색되었습니다.
[人투더스페이스]⑪ "우주청, 규제기관과 민간기업 가교 역할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궁극적으로는 발사부터 탐사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위성 발사
시스템
역량을 더 강화하고 해외에서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구현할 것이다." Q. 지난해 발사된 '누리호'의 후속 연구개발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발사 비용을 낮추는 것이 당면한 과제다. 현재 누리호의 ... ...
[극한호우, 우리]① 서울 지하엔 2년전 물난리 흔적…"지하 물길이 답일까"
2024.05.27
가득 찼지만 복개천 터널은 그렇지 않은 경우엔 수문이 열리지 않는다. 일상적인 하수
시스템
으로도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다. 저류량 기록 기둥. 부천 오정빗물펌프장의 기둥에는 높이를 나타내는 파란 안내판이 붙어있다. 신동원 부천환경사업소 시설관리팀 과장은 가장 높이 붙어있는 ... ...
'나이·인종·성별'이 뭐예요…피타고라스 정리 증명한 10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제곱과 같다는 내용이다. 기하학에서 기본이 되는 피타고라스 정리는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 건축학 등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 아이디어는 다양한 수학 이론에 활용할 수 있어 많은 학자들이 도전했고 현재 증명법은 4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자기장 시작점 기존 이론 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보인다. 태양 다이너모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는 이유는 위성 및 통신
시스템
, 무선 전력망 등 지구 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태양 폭풍과 코로나 질량 방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 ...
물리학계 "한국, CERN 연구에 숟가락만 얹는다 압박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멤스팩의 민병석 대표는 CERN의 실험에서 필요한 반도체 검출기의 핵심 장치인
시스템
반도체의 패키징 분야에서 한국이 기술적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 대표는 “한국이 반도체 패키징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고 있는 만큼 CERN의 준회원국이 되면 반도체 검출기 제작 ... ...
삼성 당황케 한 메모리반도체 'HBM'…AI 구현에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적게 차지하는 것이 미덕이다. 수직으로 쌓는 HBM의 구조는 기판 공간을 절약해 밀도 있는
시스템
을 구성하는 데 유리하다.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수직으로 쌓는 설계는 기술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제조 과정이 복잡하면 수율 확보도 어렵고 비용도 높아진다. HBM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을 ... ...
뇌 신경망 본딴 소자로 만든 차세대 '전자 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구별이 쉬운 물질이 섞인 혼합물만 분별해 낼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후각
시스템
은 냄새 물질을 감지해 고유 패턴을 형성하고 신경망 학습을 통해 미지의 냄새 물질을 추론한다.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인간 후각 수용체 3종을 뉴로모픽 소자에 도입했다. 후각 수용체 덕분에 다양한 냄새 ... ...
베이킹소다 성분 이용해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전기화학 반응을 설계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원료와 그린 수소를 함께 생산하는
시스템
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생성된 에틸렌 카보네이트로부터 폴리우레탄 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해 새롭게 개발한 기술이 경제적이고 환경적이라는 점도 확인했다. 남 교수는 ... ...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기대된다. 연구팀은 1859년 9월 강력한 태양 폭풍이 캐나다를 강타해 초기 전신(telegraph)
시스템
을 손상시킨 '캐링턴 사건'을 언급하며 태양 폭풍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대니얼 레코아넷 미국 노스웨스턴대 공학과학 및 응용수학과 교수는 "캐링턴 사건과 비슷한 수준의 태양 ... ...
흑과 백을 더욱 분명하게 구분하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바꿔 보여주면 흑백 사진을 잘 식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에 주목해 시각
시스템
이 미성숙한 시기에 아기가 색에 대한 제한적인 시각 때문에 아기의 뇌가 흑백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능숙해진다는 가설을 세웠다. 선청성 백내장을 앓았다가 치료된 어린이들은 신생아 시기 흑백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