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72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비밀을 푸는 거의 모든 방법
2015.10.18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차이는 바로 ‘뇌’에 있다. 러셀 포드락 미국 스탠포드대 심리
학부
교수팀은 인간의 뇌를 완벽히 이해하기 위한 신경과학자들의 노력을 소개하는 리뷰논문을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뇌에 접근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뇌 자체를 미시적 세계로 보고 뉴런과 신경전달물질에 ... ...
독일에서 남북 대학원생 함께 교육받는다
2015.10.14
지역에 속한 대학이지만 통일 후 과학기술 분야 통합을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학부
생의 30%가 서독 지역 출신으로 채워질 만큼 교류가 활발하다. 현재는 독일을 대표하는 공대로 손꼽힌다. 그는 “이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포스텍(포항공대)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고 ... ...
[2015 노벨 화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 DNA 자가 복구의 비밀을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7
받았으며,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미국 듀크대 의대 생화
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아지즈 산자르(Aziz Sancar) 아지즈 산자르는 1946년 터키 사부르에서 태어났다. 미국 텍사스대에서 1977년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생화학 및 ... ...
암수 성비 불균형, 포유류는 암컷이 조류는 수컷이 많다
2015.10.07
종에 따라 그 성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타마스 스제켈리 영국 바스대 생물
학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진은 동물마다 성비가 다른 이유는 성염색체에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7일 자에 발표했다. 성비는 동물의 짝을 찾는 방식이나 양육 방식 등 생태적 행동을 결정짓는 ... ...
日, 또 노벨상
동아일보
l
2015.10.07
과거 가지타 교수와 공동으로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는 김수봉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중성미자는 우주가 탄생할 때 만들어진 입자인 만큼 중성미자의 성질이 밝혀지면 우주의 비밀도 풀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틀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은 나라 전체가 축제 분위기다. 특히 ... ...
[2015 노벨 물리학상] ‘유령입자’ 질량 입증한 과학자 2명 수상
2015.10.06
가지타 교수와 슈퍼가미오칸데 실험을 공동으로 진행한 김수봉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중성미자는 우주가 탄생할 때 만들어진 입자인 만큼 중성미자의 성질이 밝혀지면 우주의 비밀도 풀리게 된다”고 말했다. 중성미자는 올해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지만 ‘절대 질량’은 밝혀지지 ... ...
골프, 운동강도 낮아도 효과는 충분
2015.10.06
골프를 치면 운동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박익열 경남과학기술대 교양
학부
교수팀이 국내 40대 남성 8명을 대상으로 경사도가 다른 골프장 2곳에서 골프를 치게 한 결과, 표고차가 50.12m인 골프장에서는 표고차가 5.05m인 골프장에서보다 평균심박수가 6회 많았으며 317kcal를 더 소비하는 ... ...
진짜 같은 인공 세포핵 첫 개발
2015.10.05
적용할 수 있어 의학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엄숭호 성균관대 화학고분자공
학부
교수팀은 세포 내 핵의 기능을 흉내 낸 인공 세포핵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세포 핵 내에 다량의 유전자들은 히스톤이라는 단백질로 포획돼 있다. 연구진은 히스톤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유전자를 ... ...
화성에도 여름엔 물 흐른다
2015.09.30
과학적으로 입증됐다”며 “이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윤성철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이 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인 만큼 미생물이 과거에 생존했거나 오늘날에도 생존할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며 “훗날 물이 있는 화성 표면을 탐사할 때 혹시 ... ...
‘황금연휴’ 알찬 여행의 팁을 알려주마
2015.09.25
선택할지 관광지와 가까운 곳을 할 지 등 선택지가 많기 때문이다. 하영원 서강대 경영
학부
교수팀은 사람들이 시설과 거리 중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적당한 시설과 적당한 거리에 있는 숙박시설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2009년 ‘소비자연구저널’에 발표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