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지"(으)로 총 2,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규명에 대한 해설을 읽다가 문득 ‘후각망울이 없는 여성들’ 논문이 떠올랐다. 무려 400가지가 되는 후각수용체의 정보가 모이는 허브가 사라져도 멀쩡하게 냄새를 맡을 수 있는데 불과 5개인 서비골수용체의 정보를 처리하는 데 서비골기관이나 서비골뉴런이 꼭 필요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2019.12.28
- 철천지 원수의 경계는 아주 불분명하고 유동적인데, 미생물과 인간도 마찬가지다. 어제의 적이 오늘의 친구가 되는 일은 사회 관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아무튼 그동안 인류의 오랜 친구를 하나하나 만나보자. 참고자료 Trevathan, et al. Evolutionary Medicine / Edited by Wenda R. ... ...
- '대한민국 인재산실'이라는 과기원 네 곳 청렴도는 '꼴찌'동아사이언스 l2019.12.24
- 국민권익위는 4대 과기원을 포함해 전국 35개 국공립대학에 대한 청렴도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권익위 홈페이지 캡쳐 올해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과학기술정보 ... 상승했다. 다만 대학 중 종합청렴도 1등급은 없었으며 서울대는 KAIST와 UNIST, GIST와 마찬가지로 5등급을 받았다. ... ...
- 음식알레르기치료제·부작용 없는 허리통증 치료기술…2020년 기대되는 의료혁신동아사이언스 l2019.12.24
- 경우 감염증 발생 위험이 40%가 낮아졌다. TYRX 제공 ‘2020년 기대되는 의학계 주요 혁신 10가지’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지금까지 치료방법이 없었던 난치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이다. 몸속 단백질 중 하나인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가 심장 내 비정상적으로 쌓이면서 손상을 일으키는 ...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않다. 감염 위험성이 낮은 에이즈나 사스, 광우병에 대해서는 엄청난 두려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위염이나 간염에 대해서는 그리 두려워 하지 않는 것이 인간이다. 사스로 죽는 사람이 많을까? 간염으로 죽는 사람이 많을까? 청결과 관련된 행동을 줄이는 것이 알레르기를 감소시켜준다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2019.12.19
- 기본연구비를 지원받게 되고, 거기에 더해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지명된 연구비를 추가지원받게 되는 것이다. 여전히 인간에 의한 평가가 동반되지만, 탈중앙화된 이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평가 실수는, 중앙화된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평가실수에 비해 시스템에 거의 해를 끼칠 수 없다. ... ...
- 국가R&D 투자 최고 수준이라는데…여전히 초라한 연구자 1인당 연구비… 동아사이언스 l2019.12.18
- 2018년 역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가 R&D비는 크게 정부와 민간, 외국 등 세 가지로 구성된다. 기업 등 민간이 65조 7028억 원으로 76.6%를 차지했다. 정부는 18조 3630억 원으로 21.4%를 차지했고, 외국 재원은 1조 6629억 원으로 1.9%를 차지했다. R&D 분야의 투자 절대다수가 기업이 차지하고 ... ...
- [표지로 읽는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을 파헤치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4
- 수행한다. 이번주 네이처는 파커 솔라 프로브의 첫번째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연구 네 가지를 소개했다. 스튜어트 베일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아주 빠른 대규모의 자기장 역전이 태양의 자기장 방향에 따라 다양한 시간대에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자기장 ...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2019.12.14
- 맞으며 남자가 된 것이다. 이들은 선천적으로 5-알파 환원효소가 결핍된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어린 시절에는 성기가 작아 여자아이로 오인하여 키워진 것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병을 앓는 아이들은 남성형 탈모가 없었다. 머크라는 제약회사에서 이런 사실에 주목했다. 5-알파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과 보통과학자의 위기2019.12.12
- 바로 그런 이유로 연구비 심사에서 탈락하기 쉽다. 연구비 경쟁이 심각해지면서 여러가지 담합과 부정도 속출한다. 연구비 집행기관의 관료에게 뇌물을 주거나 친밀하게 지내면서 연구비를 타내는 과학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과도한 경쟁은 과학계에 파벌을 만들어 내부자들만을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