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거리는 약 0.5광년이라고 보고했다. 그는 또 새로운 행성의
궤도
가 현재의 행성들의
궤도
에 비해 매우 기울어져 있으며 공전 방향도 반대라고 밝혔다. 이 행성은 태양계 외곽을 지나던 떠돌이 별이 태양의 중력에 포획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많은 천문학자들은 아직 회의적이다. “단지 두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남미 기아나(프랑스령) 쿠루기지에서 발사됐다. 10월 말 동경 116도, 3만 6천Km 상공의 정지
궤도
에 자리잡게 될 무궁화위성 3호는 앞으로 15년 동안 한반도 및 아시아 지역에 최첨단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무궁화위성 3호는 우리나라의 6번째 인공위성. 지금까지 쏘아올린 위성은 1992년 8월 11일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드러났다. 소리 자극에 의해 산모의 정서가 변화함에 따라 태아 심장의 발달 과정이 정상
궤도
에 들어섰다는 의미다. 자연의 소리가 태아에게 평안함을 안겨주는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실험을 통해 ‘지속적인 자연음향이 태아의 성숙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할 수 있다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공룡의 멸망대부분의 소행성은 화성
궤도
밖을 돌고 있으나 이심률이 큰 소행성은 지구
궤도
안쪽을 지나가므로 지구에 가깝게 접근할 확률이 높다. 실제로 지름 1㎞의 소행성이 수십만년에 한번씩 지구와 부딪칠 수 있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1908년 6월 30일 지름 1백m가량의 소행성이 지구 대기를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러나 이들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화성 운하를 확인하는데는 실패했다. 너무 높은
궤도
에서 사진을 찍었기 때문이다.화성에 운하가 없다는 사실은 2년 뒤 마리너 9호에 의해 확인됐다. 1971년 11월 24일 화성 최초의 인공위성이 된 마리너 9호는 화성을 저공비행하면서 9천장의 사진을 보내왔지만, ... ...
은하 충돌로 새 은하 형성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충돌하면서 은하 내부의 별들 사이에는 서로 충돌이 없더라도 서로의 중력으로 인해
궤도
들이 달라져 버린다. 이 과정에서 ‘어미은하’는 원래 형태를 잃고 좀더 매끈한 은하로 새로 태어나게 된다. 나선은하들이 거대한 타원은하로 바뀌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과정은 약 10억년 정도 걸리는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성은 태양 안으로 빨려 들어가고. 태양의 인력이 작아져 금성과 지구는 지금의
궤도
보다 훨씬 바깥으로 밀려나간다. 지구는 지금보다 1.7배 더 먼 곳에 있게 되지만, 표면은 1천3백℃에 이르러 철이나 암석은 녹아 내리기 시작할 것이다.이후 적색거성의 태양은 바깥의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서서히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쳤다. 두번째 우주비행사인 버질 그리섬(35세) 역시 15분에 그쳤다.미국이 최초로 지구
궤도
를 돌 수 있었던 것은 아틀라스 로켓이 완성된 뒤였다. 존 글렌은 1962년 2월 20일 프렌드십(우정)을 타고 4시간 55분 동안 지구를 3바퀴 돌면서 러시아의 뒤를 좇았다.그러나 러시아의 보스토크는 미국의 추격을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1819-1892)는 여덟번째 행성이 있다는 가정을 세우고 2년간 연구 끝에 제 8행성의 질량과
궤도
를 계산했다. 계산 결과 1845년 9월 염소자리 델타별 부근에 미지의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언했다. 르베리에(1811-1877)도 같은 계산 결과를 얻어 이 계산 결과를 토대로 마침내 1년 뒤 해왕성이 발견됐다. 지금도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대 LK 미국의 달착륙선인 LEM(Lunar Excursion Module)은 2명의 우주비행사를 월면에 내렸다가 달
궤도
로 다시 귀환시키기 위한 우주선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역학적인 고려가 필요 없어 실용 위주로 설계됐다. 거미처럼 생겼다고 해서 별명은 ‘거미’. 그러나 별명과 달리 아폴로11호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