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2호는 고리도 관측했는데, 예상과 달리 정상적인 모양의 고리가 4개 있었다. 단지 맨
바깥
쪽 고리에는 생성원인을 알 수 없는 3개의 덩어리가 있었다. 이것이 지구에서 호로 관측됐던 것으로 보인다. 1백50km에 걸쳐 검은 비 내려보이저 2호는 해왕성에 성공적으로 접근한 후 이번 탐사의 최대 관심사인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세균의 침입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분자의
바깥
껍질전자(外殼電子)속에서 같은 궤도로 들어가 전자쌍을 이루면서 두 원자 간의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전자쌍 비공유(非共有) 전자쌍이라고도 한다 탄성고무와 그 유사물질의 특이한 탄성 이 종류의 고무는 ... ...
쇠라의 작품과 컬러 인쇄의 공통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그림이 점으로 이뤄져있는 것을 알고 무척 신기했다.전시회 구경을 마친 후 어머니는
바깥
일이 있다면서 모험이와 슬기에게 먼저 집으로 들어가라고 말했다. 배가 고팠던 모험이와 슬기는 집으로 들어가자마자 냉장고 문을 열었다. 하지만 그 속에는 종이한장만 있었다.그 종이에는 어머니의 글씨로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등에모기의 일종으로 흡혈(吸血)할 때 감염된다주로 숙주의 흉부 및 후지(後肢)의
바깥
쪽 피하조직에 기생하고, 감염 부위에는 유충에 의한 비후(肥厚)가 일어나 지름 5cm 크기의 결절(結節)이 생긴다이 피부병에 의해 가축은 육질(肉質)이 떨어진다나자식물 은행류(類)에 속하는 화석식물 주로 중생대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지면을 밀게 된다. 이때 인라인 스케이트와 지면 사이에 마찰이 없다면 스케이트는
바깥
쪽으로 미끄러지고 말 것이다. 그러나 지면과 스케이트 사이에 마찰이 있으므로, 인라인 스케이트가 지면을 미는 힘의 반작용으로 지면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안쪽으로 미는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이 마찰력이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굽어진 곳의 단면을 자르면 어떤 모양일까. 속도가 빠른
바깥
쪽의 수심이 깊다. 강물의 속도가 빠를수록 바닥의 흙을 많이 쓸고 내려가기 때문이다.모양 따라 웃고 우는 물웅덩이폭포와 같이 강바닥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에서는 물이 떨어지면서 바닥에 깊은 웅덩이를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낮은
바깥
쪽에서는 먼지의 형태로 남아있게 된다. 태양계에서는 1992년에 발견된 해왕성
바깥
쪽의 카이퍼 대(Kuiper belt)가 바로 여기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이런 먼지 띠는 밝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만일 별 주변에서 먼지 띠가 발견된다면 그 별에는 행성계가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않는 영상을 찍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야말로 경주용 자동차에서 머리를 내밀고
바깥
풍경을 흔들림 없이 선명하게 찍는 일과 비슷한 상황. 촬영 중 탐사선을 조금이라도 흔들리게 하는 다른 기기들은 ‘동작 그만’해야 할 판이었다. 심지어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장치의 움직임도 문제가 될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유압, 공압, 전기적인 기계 또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대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가장
바깥
부분 대뇌피질에서 생각하고, 판단하는 등 인간 고유의 정신활동이 이뤄진다수많은 독립적인 존재, 또는 현상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전혀 새로운 거시적인 특성이나 질서를 보이는 현상 흔히 '창발현상' ... ...
목성 닮은 외계 행성 잇따라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고, 항성과의 거리는 각각 1천7백만km와 2천2백만km다.마시 박사는 “이번 발견은 태양계
바깥
에서 행성을 처음 발견한지 불과 6년만의 성과로 가까운 미래에 지구와 닮은 행성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2010년 이전에 미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구형행성 탐색우주망원경’(TPF)를 발사해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