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계월
현토
d라이브러리
"
일개월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세계 최초의 유전자변형 아기 탄생’. 지난 5월 4일 영국의 BBC 방송이 전한 충격적인 소식이다. 아기가 태어난 곳은 미국 뉴저지주에 있는 세인트 바나바스 메디컬센터의 생식의학연구소. 자크 코헨 박사팀이 “불임치료 과정에서 부모 이외에 다른 여성의 유전자까지 갖고 있는 아기가 태어났다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1996년에 나타났던 햐쿠다케 혜성은 북극성 주위를 지나갔다. 그래서 햐쿠다케 혜성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려면 자연스럽게 북극성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어떤 기자가 ‘북극성이 어느 쪽에 있지요?’ 라고 물어서 필자를 당황시킨 일이 기억난다. 물론 그 기자가 북극성이 북쪽하늘에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집트 고대문명의 상징 피라미드. 일부에서는 외계인이 만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정교하고 거대한 미스터리 건축물이다. 최근 피라미드에 대한 과학적인연구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새롭게 밝혀지는 피라미드의 신비를 만나보자.피라미드는 왜 만들었을까. 이 거대한 건축물을 정말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손은 '제 2의 뇌' ‘눈에 보이는 뇌’라고 불릴 만큼 인간의 두뇌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류가 진화의 첫발을 내딛는 순간도 바로 손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면서부터 아닌가. 보고 듣는 것만으로 만족할 수 없었던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조금씩 해결해준, 손에 얽힌 이야기를 자세히 살펴보자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러시아어로 좋다는 뜻인 ‘하라쇼’를 외치며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엄지손가락을 내민 사람, 데니스 티토. 우리 돈으로 약 2백60억원인 2천만달러를 러시아에 지불하고 최초로 우주관광에 나선 억세게 운좋은 사람이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가 우주여행을 꿈꾼지 40년만에 이룬 일이기 때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지구 바로 바깥쪽 행성, 화성. 특유의 붉은 빛 때문에 오랜 옛날부터 전쟁의 신으로 불렸고, 오늘날에는 끊임없이 외계인의 논쟁이 일어나는 행성.화성이 13년만에 다시 붉은 빛을 뽐내며 성큼 다가왔다.6월 22일 화성이 13년만에 가장 가깝게 다가온다. 천체관측가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관심이 집중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화성을 100% 만끽할 수 있는 적합한 시기를 맞았다.화성이 6월 22일 13년만에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다.한밤중 남쪽하늘 전갈자리 근처에서 붉은 행성 화성을 소형 망원경으로 즐겨보자.붉은 빛 이외에 표면에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6월에는 자정을 전후한 한밤중에 남쪽하늘을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세계 40여개 국가의 미래 과학도 1천2백명이 5월 8일 미국 IT업계의 심장인 실리콘밸리에 모여들었다. 지난 1년여에 걸쳐 이뤄진 연구 성과를 두고 서로의 기량을 겨루기 위해서다. 직접 그 뜨거운 경쟁의 현장을 찾아갔다.세상에는 선천적으로 또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말을 못하는 사람이 많다. ... ...
암·수 따라 달라지는 새의 노래 습득능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아기가 부모의 소리를 들으며 말을 배우듯, 어린 새도 어미의 노랫소리를 듣고 그들만의 독특한 노랫소리를 배운다. 이러한 새의 노래 습득에 관한 재미있는 기사가 5월 17일자 네이처에 발표됐다.캘리포니아대 야마구치 교수(동물 행동학)는 추기경새를 연구한 결과, 암·수에 따라 노래 습득능력에 ... ...
고대문헌 판독에 우주기술 쓰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 동안 학자들은 화산 폭발로 매몰된 곳에서 발견된 그을린 파피루스 고대문헌을 판독하는데 수주 또는 수개월이 걸렸다. 물론 그 문헌이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그을리지 않았다면. 하지만 이제 더 이상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NASA의 광영상 기술을 사용할 경우 그을린 고대문헌을 깨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