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볼"(으)로 총 6,6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압주의) 그동안 그린 그림들모음포스팅 l20220709
- 볼펜짐니치미침침 전구깨진취무등2p 드등언니 가터벭... 오 너 캐들 봄날지민연성어쩌구 뷔ㅣ!!!!!, 엄청잘나옴 뷔ld 손가락 잘나옴..히히 압쳇만화♡ 슈가 시소!!!!!!!!!!!!잇진!!!!!!!!!!!!!! 잘나옴!!!!!!!!!!!!!!!!!!! ***** 여기서부터 살짝 유혈주의 약수위주의 알레푸인간화하앍ㄱ ...
- 똥, 제대로 알고 싸자.(변비 잘싸는 법)기사 l20220706
- 싸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상을 받았습니다. 근데, 똥 오줌은 과연 쓸모가가 없는, 웃음거리일 뿐일까요? 사실, 이젠 똥을 새롭게 볼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염 환자들은 장염을 치료할 때 번거로운 부분이 많은데, '건강한 똥' 샘플 하나에서 추출한 고작 미생물 몇마리로,대게 큰 부작용 없이 수년 간 재발도 안 나오고, 치료에 큰 ...
- 신문박물관에서는 '나만의 신문'을 만들 수 있어요!기사 l20220703
- 알아보겠습니다. 신문 박물관(PRESSEUM)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 창간이 (1883)이래 한국 신문 130여 년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신문 박물관은 5층 전시실과 6층 체험실이 있습니다. 먼저 5층 전시실은 신문의 역사와 신문을 제작하는 기계 등이 전시되었습니다. 저는 전시물 중 실제 그 당시 ‘기자의 ...
- 지사탐 제비 현장 교육을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20703
- 방법을 보여주셨습니다. 이 둥지에는 새끼 제비가 4마리나 있었는데, ZOOM 수업에서 보여주셨던 연구원님이 만드신 거울로 둥지 안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작은 거울로 보는 거라 잘 보일까 걱정했는데, 4마리가 둥지에 들어있는 모습이 아주 잘 보였습니다. 한 마리는 둥지 밖으로 떨어져서 폐사해서 불쌍했습니다. 가게 문 아래에는 제비 알껍데기도 ...
- 다예뻐 - 220703 - 2탐사기록 l20220703
- 익산 교도소 세트장 에서 청개구리가 신발에 붙어서 놀랐는데 아빠가 손으로 직접 잡아 주었어요 그런데 청개구리가 갑자기 머리카락에 붙어서 진짜 깜놀ㅋㅋ다음번에 이곳에 또오면 꼭 다른 동물들도 볼거에요. ...
- 드림버스에 이은 새 세계관 피더버스포스팅 l20220703
- 엔피더라 불리며 천사의 힘이 깃들어 있다. 이 경우 주인의 눈은 하얀색, 즉 실명 상태. 다만 잠들 경우 유체이탈 형식으로 세상을 볼 수 있으며 선천적 엔피더라도 꿈 속에선 보인다. 검은색 날개의 소유자는 피더블이라 불리며 악마의 힘이 깃들어 있다. 이 경우 주인의 눈은 검은색이다. 시력은 멀쩡하나 안광이 없다. 회색 날개의 소유자는 카오스 ...
- 로블록스 배드워즈 이대로 괜찮을까?기사 l20220703
- 문제 있는게임들을 흥보를 할까요? 그리고 왜 제작사는 이런 문제있는 게임들로 돈을 벌라는 걸까요? 그리고 이게 그냥 눈 뜨고 볼수 있는 문제들이아닙니다 이 로블록스 배드워즈가 출시돼면서 마인크래프트 수익까지 손해보고 있습니다 그럼 마인크래프트가 로블록스 배드워즈가 불럭을 카피했다고 소송을 넣으면 안돼나요? 그러면 소송을 넣 ...
- 로블록스 배드워즈 를 반대합니다포스팅 l20220703
- 문제 있는게임들을 흥보를 할까? 그리고 왜 제작사는 이런 문제있는 게임들로 돈을 벌라는 걸까? 그리고 이게 그냥 눈 뜨고 볼수 있는 문제들이아니야 이 로블록스 배드워즈가 출시돼면서 마인크래프트 수익까지 손해보고 있어 그럼 마인크래프트가 로블록스 배드워즈가 불럭을 카피했다고 소송을 넣으면 안돼나? 그러면 소송을 넣은 마인크래 ...
- 외계행성의 존재는 어떻게 알아낼까?기사 l20220703
- 돌고 있는 행성이 공전할 때 항성을 가리면서 빛의 밝기를 줄이겠죠. 그것을 이용해 행성의 존재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만 볼 수 있는 99%의 빛을 흡수하고 1% 미만의 빛만 반사한다는 외계 암흑 행성 TrES-2 b 행성의 존재를 알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관찰이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암흑 행성 내용 출처:유튜브 '뜨억 ...
- 돌멩이랑 모래,흙은 어떻게 생긴걸까요?기사 l20220702
- 처음으로 글 을쓰는 김도영기자입니다! 오늘은 돌멩이,모래흙은 어떻게 생긴건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얇고 고운 흙가루는 약 수천 년 전만 해도 커다랗고,단단한 바위였습니다. 그 커다란 바위가 오랫동안 비바람에 의해 깎이고 갈라져서 지금처럼 작아진 것이죠. 한꺼번에 작은 알갱이의 흙이되는 건 아니랍니다. 커다란 바위는 갈라져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