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뉴스
"
하나
"(으)로 총 10,50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日 오염수 안전하다' 주장이 안먹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07.10
지켜보고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해서 혹시라도 우리나라 해양에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하나
라도 기준치를 넘으면 일본에 강력하게 항의해서 오염수 방류를 중지시키겠다는 약속을 듣고 싶어 한다. 안전하다는 주장의 강도를 높일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신뢰받는 정부나 연구 기관이 될 수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백만인·이태길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열정과 끈기의 실사구시 정신으로 연구개발에 매진해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작은 기술
하나
가 국가 뿌리기술인 금형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기술 환경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미토콘드리아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에너지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각종 부산물도 생긴다. 아코니타제-2는 생성된 부산물 중
하나
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필수적인 효소다. 아코니타제-2를 억제하면 암을 포함한 심각한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진은 이를 적절히 억제할 경우 옥살아세트산이 미토콘드리아 미접힘 단백질 ... ...
[日 오염수 팩트체크] ②검사 시료의 대표성이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23.07.10
보면 알프스를 거친 오염수는 측정·확인용 설비로 이동하는데 이 설비는 10개의 탱크가
하나
의 그룹으로 연결돼 있다. 그리고 그 안에는 10개 탱크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와 탱크 내에 침전물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교반기가 들어있다. 정용훈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탱크 그룹 내 ... ...
하루살이·러브버그의 역습..."서식지 침입한 결과, 방제보단 공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7.08
생장이 빨라져 일찍 성충이 됩니다. 이는 하루살이 성충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
가 되었지요. 한편, 하루살이는 생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김동건 교수는 “하루살이는 비교적 깨끗한 2급수에 사는 곤충으로 하루살이가 있다는 건 강의 수질이 개선되었다는 증거”라고 밝혔습니다 ... ...
[주말N수학] 지구 궤도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도 재활용한다
수학동아
l
2023.07.08
위해 인공위성의 태양 빛 반사를 획기적으로 줄이려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또
하나
의 문제는 우주 쓰레기다. 공기와 물, 수많은 마찰력이 존재하는 지구 환경과는 달리 우주 공간은 관성의 법칙이 가장 확실하게 작동하는 곳이다. 궤도에 한 번 들어선 물체는 쉽사리 그 관성을 잃지 않는다. ... ...
”한국서 의대 쏠림 안타까워...도전하는 의사과학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다른 분야에 도전한다는 건 탑 쌓기를 새로 하는 것이기도 해요. 이미 높이 올린 탑에 돌
하나
더 얹으면 잘했다고 칭찬하지만, 새로운 탑을 다시 쌓을 땐 미친 사람이라고 보기도 하죠.” 5일 개막한 제1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대회 참여차 방한한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과 및 공대 ... ...
진화의 최소 단위는…"유전자 493개 합성박테리아 진화 확인"
연합뉴스
l
2023.07.06
기능적 중복이 없고 생명에 필수적인 최소 유전자만 가지고 있어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하나
이상의 세포 기능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화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먼저 M. 마이코이데스 JCVI-syn3B를 자유롭게 진화할 수 있는 실험실 환경에서 300일간 ... ...
종이처럼 DNA도 접는다...‘DNA 나노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경첩이나 관절과 유사한 기계적인 요소를 도입해 구조체 변형을 유도했다. 이는
하나
의 구조체가 다양한 모양으로 변할 수 있는 다중 변형이 불가능해 단순 변형 및 제한적 기능 구현에 그쳤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 장의 종이로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원리를 ... ...
[과기원은 지금] 장영재 KAIST 교수팀, IEEE TSM 우수논문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5
■ 함병승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양자역학의 핵심 현상 중
하나
인 ‘양자지우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양자지우개는 양자가 지닌 파동-입자 이중성과 불확정성 원리에 대한 특성을 보여주는 사고실험으로, 양자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