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질
성격
본질
천성
됨됨이
특성
특징
d라이브러리
"
성질
"(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같아 보인다. 여기서 오른쪽·왼쪽의 구분은 행성 밖 사람들의 기준이다. 방향이 바뀌는
성질
은 아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좌우가 바뀌는 뫼비우스 공간 체험➊ 긴 직사각형의 띠를 180° 만큼 한 번 꼬아 끝을 연결하고 면 위에 아무 데나 점을 찍는다.➋ 점 찍은 곳을 시작으로 한쪽 방향으로 원을 ... ...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통합했다. 클라인은 ‘기하학은 도형이 다른 도형으로 바뀔 때, 변함없이 유지되는
성질
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주장했다. 그 뒤 수학자들은 더 어렵고 복잡한 도형을 이해하고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둘째 날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들어졌다.초음속 월드, 충격파를 이용하라!그런데 비행을 방해하는 충격파에는 특이한
성질
이 있어요. 바로 소리의 네 배, 다섯 배 속도까지 내는 비행기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는 사실! ‘램제트’와 ‘스크램제트’라는 엔진이 이런 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추진기예요.현재 쓰이는 제트엔진은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들어 보자! 기분에 따라 바꿔 쓸 수 있는 도넛 지갑을 만들자! 두 면을 갖는 도넛의
성질
을 이용해 양면 지갑을 만들 수 있다. (자세한 순서는 홈페이지를 참고 하세요.)➊ 적당히 큰 정사각형의 천을 접는다.➋ 만나는 모서리를 실로 꿰맨다.➌ 반대로 뒤집어 그림과 같이 접는다.➍ 안쪽 면만 ... ...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에셔는 뫼비우스 띠를 모델로 그림을 자주 그렸어. 끊임없이 이어지는 뫼비우스 띠의
성질
때문에 회사 로고 등에도 끊임없는 성장을 상징하며 쓰이기도 한대. 뫼비우스 띠 II에셔의 그림이다. 뫼비우스띠를 따라 무한궤도를 도는 개미를 그렸다. 개미에게 뫼비우스 띠는 벗어날 수 없는 굴레다 ...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공식은 ‘꼭짓점의 개수-변의 개수+면의 개수’인데 이 값이 같은 도형은 모양은 달라도
성질
이 같은 도형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평면도형은 이 식의 값이 1이다. 고무공을 늘이거나 줄여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입체도형의 이 값은 2다.닫힌 곡선 원과 연결 상태가 같은 곡선이 닫힌 곡선이다.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분을 밖으로 배출하는 투습기능이 함께 갖춰져 있다. 천연섬유 자체가 방수와 투습
성질
을 동시에 가질 수는 없으므로 고어텍스와 폴리우레탄 같은 방수투습 원단을 옷감에 접착하거나 코팅한다. 이 원단에는 물 분자보다 작고 수증기 분자보다는 700배 정도 큰 구멍이 거미줄처럼 뚫려 있다.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영역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와 혼합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질
을 이용해 한지는 옛날부터 우리의 일상에서 거의 모든 재료를 대신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됐다. 유리 대신 창문에 바르고 조명을 만드는 데 사용했고, 장판을 바르고 부채를 만들었으며, 지폐 재료로도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종목은 날씨와 고도와의 전쟁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스키 종목은 날씨에 따른 눈의
성질
이 경기력을 좌우한다. 일반적으로 하늘에서 방금 막 내린 눈이나 밀도가 낮은 인공설은 스키 플레이트(부츠에 부착하는 기다란 판)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반면 눈이 내린 지 꽤 지난 눈이나 -2℃ 안팎의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차가운 공기 덩어리들이 발달해 제트기류는 삼각형 모양이 됐다. 북극제트기류의 세기와
성질
은 ‘북극진동지수(Arctic Oscillation Index)’로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이 지수가 작을수록 제트기류의 세기가 약함을 의미한다.기상청은 “폭설이 있기 전인 지난 12월 월평균 북극진동지수가 -3.2로 최근 6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