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1700건까지 질문이 올라올 정도로 식물 애호가들이 믿고 찾는 병원이 됐다. 이 연구사는 “이용자의 80~90%는 가정 원예를 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올해는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10여 년간 병원에 쌓인 데이터를 토대로 식물병원 의사의 진단을 받기 전에 자가진단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AI가 음성의 특징을 추출했으니 이제 1단계에서 학습한 음향모델, 발음사전, 언어모델을 이용해 음성 신호가 어떤 말인지 인식할 차례입니다. AI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며 가능한 조합을 따져봅니다. 명확하지 않은 음성이 있어도 그 단어의 앞뒤 단어를 살펴 가장 확률이 높은 것을 선택해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개미 군집 최적화(Ant Colony Optimization, ACO)’ 알고리듬입니다. ACO 알고리듬은 컴퓨터를 이용해 연결 그래프의 최적 경로를 찾는 방법으로, 먹이를 찾는 개미의 행동에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죠. ACO 알고리듬을 쓰면 난제로 알려진 ‘외판원 문제’의 최적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외판원 문제는 어떤 ... ...
- [수학체험실] 5가지 그림을 찾아라! 거울 퍼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이용해 다른 물체의 모양을 비춰주는 특이한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거울에 비친 그림을 맞추는 큐브 퍼즐이 있습니다. 5가지의 그림이 숨겨진 신비한 거울 퍼즐을 함께 만들어 봅시다. 평면거울의 수학적 원리 우리가 매일 보는 거울에는 어떤 수학적 원리가 숨어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나눠진 화면을 일차방정식의 좌변과 우변으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수학 연산 기호를 이용해 미지수만 남기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때 미지수를 몬스터 이미지로 바꿔 게임의 재미를 더했습니다. 카훗은 드래곤박스 알지브라를 1시간 30분가량 체험한 학생 중 93%가 일차방정식의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인공지능에게 도덕성을 바랄 순 없겠죠. 사실 전 이루다가 행한 혐오 발언에 앞서, 이용자들이 인공지능에게 가한 행동이 더 심각한 문제로 와닿았습니다. 이루다를 성적 쾌락의 도구로 대하고 성희롱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 건 이루다를 디지털 성범죄에 가장 취약한 20대 여성으로 가정했기 ... ...
-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많아요. 한편, 10월엔 미국과 일본 등 8개국이 달에 안전지대를 만들고 달 자원을 소유, 이용하는 ‘아르테미스 협정’도 논의했지요.자기들이 로켓 비용을 지불하고 주인 없는 자원을 가져오는 데 무슨 문제냐고요? 1967년 UN총회는 60개국의 서명을 받아 우주조약을 체결했어요. ‘지구를 제외한 모든 ... ...
- [시사과학] 동물 학대 논란, 수족관 고래 타기 체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존 수족관도 새로운 고래를 데려올 수 없지요. 해양수산부는 가상현실 등의 기술을 이용해 수족관 해양 동물 전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에요. 나아가 수족관은 단순 전시나 체험 공간이 아니라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교육 및 연구를 하는 곳으로 바뀔 거예요. 먼저, 수족관 내 생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 손 재난 현장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쥘 수 있고, 오른손으로는 장애물을 자르거나 부술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로봇 손을 이용하면 최대 200kg 무게의 장애물을 옮기거나 22mm 두께의 철근을 절단할 수 있다고 밝혔지요. 운전자는 웨어러블 조종 장치로 로봇 손을 조종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로봇을 더 개선하여 재난 현장에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태양풍의 비밀을 밝혀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태양의 대기는 가시광선보다 에너지가 더 높은 극자외선이나 X-선 등의 파장을 이용해 관측해야 하지요.이번에 우표에 사용된 태양의 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2010년에 발사한 태양 활동 관측 위성(SDO, Solar Dynamics Observatory)으로 관측한 자료예요. SDO에는 가시광선과 자외선, 극자외선 등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