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질량이 클수록 별이 도는 현상을 뚜렷이 알 수 있다.셋째 전파 신호를 주기적으로 내는
천체
인 ‘펄사’의 신호주기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1967년 처음 발견된 펄사는 초신성의 폭발로 형성된 중성자별인데, 이들은 빠르게 회전하면서 주기적 전파 신호를 발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같은 맥락이다.외계 생명체의 탐색에서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가는 곳은 우리 태양계의
천체
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확보되지 않고 있다. 수성은 대기가 없고 태양에 너무 가까워 지표는 엄청난 고온으로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다. 금성은 대기를 가지고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활용한 대표적인 고대 건축물이다. 스톤헨지는 원의 이미지를 평면적으로 해석해
천체
의 움직임을 읽어내는 도구로 활용했지만, 이에 반해 판테온에서는 원의 이미지가 구라는 3차원 구조물로 축조됨으로써 천상의 비밀을 지상에 축조해놓은 상징성이 확보될 수 있었다. 판테온은 범(pan) 신전(theon ... ...
제2의 태양계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행성계에 지구와 같은 행성이 더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하고 있다. 하버드 스미소니안
천체
물리학 센터의 피터 니젠슨은 “지구형 행성의 경우 질량이 너무 작아 현재의 관측장비가 검출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구 크기의 행성이 이 행성계 안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혜성 탐색에 열중했던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는 밤하늘을 관찰하면서 뿌옇게 보이는
천체
를 혜성과 혼돈하지 않기 위해 목록을 만들어 가던 중 안드로메다 성운을 그의 목록에 31번째로 포함시켰다. 그 후로도 안드로메다 성운은 지속적으로 관찰됐지만 특유의 나선모양에 대해 명확한 해석을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어떻게 모두 똑같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1980년 MIT 출신의
천체
물리학자 앨런 구스(1947-)는 인플레이션 가설을 세웠다. 인플레이션 가설에 따르면 빅뱅 이후 1초 이내에 우주가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의 10억배’ 이상 커졌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 가설은 등방성의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조수로 들어간 톰보는 X 행성을 찾기 위한 팀에 배속됐다. 그가 하는 일은 날마다
천체
사진을 찍어 뭔가 변화가 있는지를 살피는 것. 그런데 시작한지 불과 1년도 안돼 그는 마침내 일을 내고 말았다. 1930년 2월 18일 로웰이 예언했던 지점에서 7도 정도 떨어진 곳에서 명왕성을 발견한 것이다. 이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짧은, 정말 짧은 이 시간 동안을 기술할 물리학을 우리는 아직 소유하지 못했다. 영국의
천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도 여생을 이 연구에 바치겠노라고 말한 바 있다. 플랑크 시간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이다.우주가 탄생한 후 플랑크 시간이 지나자마자 제일 먼저 중력이 독립해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입자들의 소용돌이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입자들은 끊임없이 소용돌이 운동을 하면서
천체
를 형성하고 자연의 모든 변화들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그러나 뉴턴은 오히려 그들의 그러한 설명이 쓸모 없는 가설이며, 증명할 수 없는 것을 주장하는 독단이라고 생각했다. 뉴턴은 ‘프린키피아’의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Mpc(1백만pc만큼 떨어진
천체
는 1초에 5백km의 속도로 멀어진다는 뜻)의 값을 발표한 이후
천체
의 거리 측정 방법이 향상되면서, 점점 작아졌다(반면 우주의 크기는 커짐). 1999년 2월 현재 발표된 허블상수의 값은 약 65km/초/Mpc이다. 이로부터 우주상수가 0일 때의 우주의 팽창나이를 구하면 1백20억년이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