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파산
잘못
과실
착오
실패작
d라이브러리
"
실패
"(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발생했지만 그동안 이에 대처하는 많은 법이 마련됐고 엄청난 기술적인 진보가 있었기에
실패
는 아니었다는 것이 그들의 평가인 것이다.그러나 그들은 성공이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들은 다음 20년 동안에 환경문제에 접근하는 근본적인 방법론을 완전히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을 제창했으나 별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1985년경부터는 이러한 새이론들은 '재미있는
실패
작'(interesting failure)에 불과하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1991년 필자와 스타인하트박사는 구스의 첫이론과 이후의 다른 이론들이 갖는 문제를 한꺼번에 극복해주는 새로운 이론을 발견해 냈다. 샌프란시스코 ... ...
아라크네의 자식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주장한 신들의 영웅적 이야기보다는 특히 비정상적인 사랑이야기를 담은 신들의 실수와
실패
이야기에 치중했다. 아테나는 아라크네의 베를 망가뜨려 버렸다. 아라크네는 스스로 목메달아 자살했고 그후 거미가 되어 버렸다(거미는 가끔씩 자신이 친 거미줄에 매달려 죽은 듯 살아 있는 모습으로 ... ...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급속한 기술발전이 거듭되고 있어서 개발주기가 매우 짧고(3~5년), 사람이 타지 않는 경우
실패
율을 5%정도 인정하고 있어 제조산업(위성체 발사체 제작)과 서비스산업(위성통신 방송사업 등)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따라서 빠른 기술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측면에서 우주산업은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뒤진 옛소련은 화성탐사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야심적인 계획을 세워 추진하였으나
실패
를 거듭한 것이다.붉은 별인 화성은 '붉은 별의 나라'인 옛소련에서 오는 우주선을 무슨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듯이 반갑게 맞이하지를 않았다. 그동안 많은 우주과학자들은 화성에 대하여 달 만큼이나 많은 ... ...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통한 인공지능의 완성」이
실패
로 돌아감에 따라 여러가지 새로운 방법론이 각각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굳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너무 좁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9월 15일부터 나흘동안 서울 롯데호텔에서 '정보사회를 선도하는 기술'이란 주제로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가 열린다. 지난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영향으로 자칫하면 어린 학생들의 마음에 과대한 욕심을 가지게 하여 과학도들이 도중에
실패
하거나, 실망을 하여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종종 보아왔다. 또한 여성 과학자들이 한국에서는 아직도 확고한 위상을 잡았다고 보기에는 이르다.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과학자 혹은 과학도들이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나방에 관심이 있었는데 이번 탐사가 주로 낮에 이뤄져 지리산 나방을 채집하는데는
실패
했어요. 어떤 지역의 식물상을 탐사할 때는 곤충상도 함께 살펴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나방이나 나비 같은 인시목 곤충은 애벌레시절부터 식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동시에 관찰돼야 합니다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해 다소 주춤한 상태이고 아직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연구가
실패
한 것이 아니라 완성될 시간을 앞당겨 일반인들의 기대를 지나치게 부풀렸기 때문이다.인공지능 연구자들은 지금부터라도 황색 저널리즘에 편승할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기초적인 연구부터 다져나가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않는다. 진정한 핵막이라면 마땅히 갖추고 있어야 할 핵막의 기공들을 찾는데
실패
했기 때문이다. 다른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G. obscuriglobus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상대적으로 최근에 등장한 박테리아라고 한다. 이를 두고 일부학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로 이행되는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