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맨틀과 외핵, 둘 다 흐르는데 왜 안 섞이지?과학동아 l2019년 06호
- 0K(섭씨 3726.85도)의 온도에서 맨틀과 외핵의 주성분인 철-실리콘 액체와 철-실리콘 산화물 실험을 진행했다.그 결과 이 두 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밀도가 낮은 철-실리콘 산화물이 위쪽으로 이동해 액체 층을 형성했다.리 교수는 “이번 연구로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이해할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런 상태는 사후 10시간째인 실험 6시간 뒤까지 지속됐다. 뇌세포가 부활한 것이다. 오 책임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신경세포가 망가지면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일부 사지마비 환자에서도 간혹 의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내 손에 맞게 즉석 조립, DIY 웨어러블5월 초, 홍 교수를 먼저 찾아갔다. 4층에 있는 실험실에 들어서자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윤재영 박사과정 연구원이 먼저 맞이했다. 책상에는 일명 ‘DIY(Do It Yourself) 웨어러블’의 모듈들이 샬레에 가지런히 담겨 있었다.홍 교수팀이 개발한 기기는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비가 2:1:2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탈리아 화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는 게이뤼삭의 실험을 해석하기 위해 같은 부피의 기체는 종류와 무관하게 같은 수의 기체 입자를 지닌다는 아보가드로 가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 경우 하나의 산소 원자로 두 개의 물 원자를 생성해야 하므로 ‘원자는 더 ... ...
- [미국유학일기] ‘오피스 아워’에 자주 찾아가 교수와 친해지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지금은 많이 편해졌다. 시아 교수는 자주 실험실에 들려 내가 잘 하고 있는지, 실험 계획은 잘 세워져 있는지 확인한다. 그러면서 항상 “넌 정말 훌륭한 대학원생이 될 거야!”라고 격려해준다. 비록 한국처럼 소속감이 큰 학과 생활은 없지만, 교수들과 이렇게 친해질 수 있는 문화가 미국 대학의 ... ...
- [영국유학일기] 쉬운 질문은 사절 매일 자습은 필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친해지게 된다. 물론 수업 시간에 만나는 것이 전부이지만, 하루 3시간의 수업과 5시간의 실험을 계속 함께하다 보면, 따로 만나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서로 익숙해지게 된다. 임페리얼칼리지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교수와의 관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교수에게 스스럼없이 이름이나 애칭을 부를 만큼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여러분은 자신이 진짜라고 착각할 뿐이겠죠.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오늘 생각 실험은 ‘나를 나로 만드는 것이 무엇인가’하는 내용이에요. 이 안에는 여러 질문들이 들어 있지요. 이 문제가 어려운 까닭은 부산의 나와 서울의 내가 똑같은 물리 정보를 갖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에요. 둘은 세포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끊는 것이 더 나은 전략일까요? 친구들과 함께 키코블록 보드게임으로 팃포탯 전략을 실험해 보세요! ※ 스미스와 함께 ‘두뇌력 뿜뿜! 샌드박스프렌즈 키코블록’을 즐기고 싶은 친구들은 토이트론몰(toytronmall.co.kr)로 고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내가 학교에 다니던 시절 이야기란다. 학기 초에 자리를 바꿨는데, 옆자리에 앉은 심술쟁이가 나한테 지우개 조각을 던지는 것이 아니겠니? 그 친구가 안타까웠지. 고무줄로 투석기와 총을 만들 수 있는 나, 황야의 섭섭박사를 몰라보고 도전하다니 말이야…, 크큭! ➊ 고무줄을 사용해 연필 3개를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도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과학적인 접근법과 실험을 통해서 수많은 가설을 세우며 실험을 통해서 옳고 그름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모아 수많은 이론들을 비교하고 경쟁해보며 또 다른 가설을 세운다. 이런 과정을 보며 필자는 문득 이 연구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생물들의 경쟁과 상생,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