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최후
끝
결말
맨나중
마즈막
궁극
d라이브러리
"
최종
"(으)로 총 1,827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라고 부른다.이 양수겹장의 잡종세포중에서 원하는 항체를 만드는 세포를 골라 배양하면
최종
산물인 단클론항체가 얻어진다.이 단클론항체를 이용하면 '숨어 있는' 암 세포를 찾아낼 수 있다. 암세포가 분비하는 어떤 특수한 물질에 단클론항체가 꼭 달라 붙으므로 암의 조기발견이 가능한 것.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0㎝의 특수제작된 합성수지 전시판을 통하여 펼쳐진다. 그리고 1차 생산자(플랑크톤)에서
최종
소비자인 사람에 이르기까지의 바다의 먹이사슬 관계가 비디오로 설명된다. 또한 바다에서 각종 해양생물은 플랑크톤이 풍부한 수심 1백m 이내에 많이 살고 있으며, 1백m 이상의 수심에서는 서식 생물의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975년 여름 바이킹 1,2호를 화성표면에 연착륙(soft landing)시켜 생명체의 존재에 대한
최종
판단(채취된 흙을 분석한 결과 화성 표면에 생명체의 씨앗 이라고 할 수 있는 유기물질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내린 바 있던 미국은 21세기 유인 화성탐사를 대비한 보다 정밀한 관측을 위해 17년만에 새로운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질량(M)에 따라 여러 가지 종말을 맞게 된다.백색왜성/서서히 식어가는 모닥불진화
최종
단계에서 보이 태양 질량(M⊙)의 약 1.4배보다 작은 별들은 중력의 크기가 작으므로 전자의 축퇴압력에 의해 수축을 멈추고 안정된 구조를 회복하게 된다. 즉 M<1.4M⊙인 경우에는 백색왜성이라는 작은 별이 된다.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부 CD롬으로 대체한다는 목표로 국민학교 4,5,6학년용 CD롬 개발을 이미 완료하고
최종
테스트를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웅진측은 웅진터미네이터를 CD롬으로 바꾸면 여러가지 이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한 학년용 학습디스켓이 1백10장(3백60KB짜리)이나 되는데 학생들이 이것을 관리하기가 복잡할 ... ...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철도운영정책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철도수단은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교통수단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고객이나 수송물을 안전하게, 경제적으로 수송한다는 명제를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해 왔고 해나갈 것이라는 지적이다.유럽의 주요 도시를 고속철도로 연결하는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기낭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과거 몇나라에서 개발을 시도한 것이 있으나 아직까지
최종
적으로 성공한 사례가 없다. 개발책임자인 항공우주연구소 비행제어실 김종철 실장은 "그동안 비행기 자세 제어기술을 꾸준히 연구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에 도전해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고감도 센서를 ... ...
더 많은 복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 있는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를 만들는지 모른다. 이것이 우주의 침묵에 대한 인류의
최종
적인 '반응'이 될까? "Replication" isn't a beautiful word, but in action it makes all the beauty of life possible. Replication can be defined as "making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8천명이 참가송호리 준비모임에서는 관측대상을 거문고자리로 교체하고 촬영조건을
최종
적으로 결정했다. 백조자리는 별자리가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넓고 은하수 중심이라 주변에 별이 너무 많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으며 거문고자리는 상대적으로 좁으며 은하수 주변에 위치해 있어 주변에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에 의한 결정법이 한계를 노출하기 시작했다.1952년 '전자두뇌'라고 불리는 기계가 선거의
최종
집계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히 예측하여 미국 국민을 놀라게하였다. 이러한 가시적인 효과에 힘을 얻어 미국내 몇몇 대학, 즉 MIT 카네기멜론대학 스탠퍼드 대학의 열성적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