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클락 켄트(슈퍼맨의 이름)보다 주인공 할 일원이 됐다.그린랜턴은 상상했던 모든 것을
현실
로 만들 수 있다. 상상만 하면 멍청한 녀석”이다.이것은 프랭크 밀러만의 자유로운 해석이지만 오히려 영화보다 정확하고, 팬들도 납득시킨다. 프랭크 밀러가 ‘두려움이 없는 사람’ 그린랜턴의 속성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현실
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더하세요!자유롭게 생각을 펼치되, ‘과학’ 상상화인 만큼
현실
을 바탕으로 그리는 것이 중요해요. 하지만 이미 책이나 TV, 영화에 나왔던 뻔한 미래 모습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우선 다양하고 객관적인 과학 소식을 모으세요. 그리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모습을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여러 편의 공포영화를 만든 것만 봐도 알 수 있어요.영화감독은 굳이 실화가 아니더라도
현실
세계에서 일어날 법한 일들로 공포감을 조성하죠.이 으스스한 분위기는 뭐지?공포영화는 혼자 봐야 공포감을 배로 느낄 수 있어요. 불은 끄고 소리는 키우고. 휭~ 하는 바람 소리와 함께 추적추적 비까지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정말 우주여행을 갈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우주여행을 향한 인류의 간절한 꿈이 결국
현실
이 된 것이다. 문제는 안전성과 비용이다. 앞으로 우주여행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는지가 우주여행 대중화의 관건이다. 필자는 최근 네덜란드에 있는 청년 2명이 직접 만든 로켓과 우주선으로 우주여행을 떠날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않는 불야성의 사회가 된 오늘날,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교대근무를 아예 없애기란
현실
적으로 쉽지 않다. 그렇다면 ‘좀더 인간적인’ 교대근무는 없을까. 우리보다 노동자들의 건강에 대해 연구도 더 많이 돼 있고 보장도 잘 된 북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보자. 우선 쉬는 날을 충분히 확보한다. 이를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23ⓒRuud van Empel사진작가 루드 반 엠펠은 수백 장의 사진들을 찍은 후 컴퓨터로 합성해
현실
에는 없는 세계를 만들어 낸다. 그는 이 작업이 씨를 뿌리고 싹을 틔워 가꾸는 농부의 일과 비슷하다고 한다. 초록빛의 식물과 달리 생명이라고는 없는 듯 보이는 회색빛 기계들은, 엠펠의 작업을 통해 가상의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런 영화 속 상상력은 이미
현실
이 되고 있다. 영화만큼 막강한 성능은 아니지만
현실
세계에서도 이런 입는 로봇은 이미 하나 둘씩 등장하고 있다.미-일 개발경쟁 한창… 한국도 출사표입는 로봇 개발의 선두에 선 나라는 역시 로봇 기술이 뛰어난 미국과 일본이다.상품화는 일본이 가장 빨랐다. ... ...
Intro. 범죄에 빠진 해킹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자동차 등의 사회기반시설로 확대되고 있다. 사이버 범죄는 이제 우리가 피할 수 없는,
현실
의 문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범죄에 빠진 해킹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Part 2. 해킹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외국의 해킹 공격을 ‘전쟁행위’로 간주하고 무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사이버 전쟁이
현실
의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회기반시설에서 스마트폰까지 한계란 없다개인들이 느끼는 해킹 공포도 일상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이미 개인을 대상으로 한 해킹이 성행하고 있다.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다.예를 들어 거대담론주의자들은 숲만 보고 나무는 못 보는 타입이다. 이들은
현실
의 모든 문제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보려고 한다. 1960년대에 ‘잘 살아보자’는 슬로건을 내걸었던 새마을운동이나 20세기 중반 국내에 불어닥친 민주주의 바람이 대표적인 거대담론에 해당한다. 얼핏 듣기에는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