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주는 점점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 이를 우주의 가속팽창이라고 한다. 도무지 이유를 알 수 없던 과학자들은 암흑에너지라는 게 있어 우주를 팽창시키고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아직 암흑에너지가 대세긴 하지만 한편에서는 암흑에너지란 없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중력이론을 수정하면 충분하다 ... ...
-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과학기술 분야에서 많은 기회가 싱가포르에 열려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는 문화와 인종의 용광로(melting pot)이기 때문에 다양한 나라 사람들과 흥미진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자신의 경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11월 22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싱가포르 채용박람회 ‘리서치 버츄얼 커리어 ... ...
- 재미있는 전공탐험-강풍에도 끄떡없는 튼튼한 다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무엇을 연구하나요? 도시를 이루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해 연구합니다. 도시환경, GPS시스템, 상하수도, 교량, 댐, 터널, 도로 등 도시가 원활하게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대부분의 시설물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는 건설관리, 공간정보공학, 교통공학, ...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선택한다는 게 뭐지?”어린왕자가 여우에게 물었어요.“선택은 여러 가지 길 중에 하나를 고르는 거야.”“하지만 어떤 길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는걸.”“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때 높은 곳에 올라가 길을 살펴보잖아. 인생의 길에선 통계가 이런 역할을 해. 이참에 통계를 공부해 보는 건 어때?”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토끼는 지난 경주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열심히 운동을 했어요. 그리고 거북에게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어요.“달리기 경주에서 꾀를 부리다가 진 이후 부끄러워서 제대로 얼굴을 들고 다닐 수가 없었어. 우리 다시 한 번 달리기 경주를 하자.”거북은 통계자료를 뒤적이더니, 한참 뒤에 말을 꺼 ... ...
- [W5 코드 브레이커] 끊임없이 진화하는 최첨단 암호 기술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지난호에서 알아본 것처럼 나날이 발전하는 해킹 기술 때문에 암호학자들은 해킹을 막는 암호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그래서 최근에는 숫자가 아닌 사람의 몸이나 빛을 암호로 활용하는 보안 기술도 등장하고 있답니다. 세상을 밝혀 주는 빛이나 우리의 몸이 암호가 된다니, 무슨 말일까요?보기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누구나 바이오인포매틱스(생명정보학)를 쓸 수 있게 하자.” 생명과학 벤처회사 ‘천랩’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의 모토다. 세상에서 가장 바쁜 직업 중 하나인 교수가 역시 세상에서 가장 바쁘고 도전적인 일인 벤처 기업을 만들었다는 사실도 신기하지만, 무엇보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세계적인 기업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서로 특허를 침해했다며 몇 년째 법정 다툼을 하고 있다. 어떻게 결정 나느냐에 따라 회사의 운명이 바뀔 수 있다. 이뿐 아니다. 평생 개발한 기술을 특허를 내지 않아, 경쟁사에게 무너지는 중소기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특허는 기업의 생명을 지켜주는 방패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울대학교 관악 캠퍼스. 신공학관이 있는 곳을 가다 보면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 그 중에서도 뉴미디어통신연구소는 어찌 보면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고 있는 휴대전화와 통신 단말기, 와이파이(Wi-Fi) 등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연구 리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KAIST(한국과학기술원)엔 진기한 로봇이 하나 있다. 사람처럼 두 발로 걷고, 뛰고, 춤까지 추는 로봇 ‘휴보’다. 세계적으로도 이런 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나라, 미국 밖에 없다. 이 로봇을 만든 사람은 휴보 아빠로 잘 알려진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