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사촌 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영화에서처럼 다른 행성에 사는 일이 그리 먼 미래의 일이 아닐지도 몰라요. 지구와 닮은 제2의 지구를 발견했거든요.지난 7월 23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했다고 밝혔어요. 케플러-452b는 지구에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 지구에서 보면 ...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눈이다, 눈~! 하늘에서 눈이 내린다! 잉? 한여름에 어떻게 눈이 내리지? 자세히 보니 눈이 아니라 금색 모래였네! 모래가 어떻게 금색이냐고? 금모래는 물과 마법의 가루만 있으면 만들 수 있어. 그럼 섭섭박사와 함께 한여름을 반짝반짝 빛나게 할 금모래를 만들어 보자구. 우꺄꺄웅~!설탕을 물에 넣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양이 많기로 유명한 유공충 화석이 많이 발견돼, 이런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답니다. 미래 에너지원, 플랑크톤이 책임진다석유가 플랑크톤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또다른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어요. 바로 플랑크톤을 이용해 과학으로 연료를 만드는 거지요. 이렇게 만드는 연료를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요즘 초등학생들에게 가장 받고 싶은 선물이 바로 ‘드론’이라고 합니다. 어디 그뿐인가요? 드론은 어른들 사이에서도 인기 ... 어떤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소개한다 ▶ 미래에 드론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상상해 보고 미래의 드론을 소개한다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만들어 낼 수 있을 거예요.앞으로 또 어떤 드론들이 탄생할까? 친구들도 드론과 함께할 미래를 상상해 봐~! 드론, 바르게 이용하려면?최근 드론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드론과 관련된 사건 사고가 늘어나고 있어요. 건물에 부딪치거나 사람이 다치는 등 피해를 입는 일도 많아졌지요. 심지어 ...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앞으로 나아가며 휴보를 더 발전시키고 싶습니다.이명하 : 미래의 휴보는 어떤 모습일까요?이번 대회에서 우승했다고 해서 휴보만 세계 최고의 로봇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로봇 선진국들은 우리보다 훨씬 오랜 기간, 많은 자금을 투자해 로봇을 연구하고 있어요.예를 들어,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과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그래머가 안전한 직업일까?디봇의 이야기는 먼 미래에 일어날 수도 있는 극단적인 상황을 상상해본 것이다. 극단적이라고는 하지만 전문가들은 분자컴퓨터와 뉴로모픽컴퓨터에서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다고 단언한다. 이들은 뇌의 구조 혹은 기능을 모사한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에너지기술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은 에너지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을 관련 분야에 유치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정승영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 인력양성실장은 “공모전을 처음 만들 때 학생들을 조사했는데, 학생들이 의외로 에너지 기술이 뭔지 잘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가 작아지는 현상이 뚜렷하다. 해마의 부피를 측정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공명영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제출된 INDC를 살펴보면 절반은 과거에 배출한 온실가스 ‘절대량’을 기준으로, 절반은 미래의 ‘배출전망치(BAU)’를 기준으로 감축안을 제시했다. 심지어 인도나 중국은 GDP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인 ‘원단위’를 기준으로 삼았다. GDP가 증가하면 배출량을 줄이지 않아도 원단위 수치는 감소할 수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