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빚어 누리꾼이 원할 만한 결과들을 미리 준비하는 게 이들의 임무다. 같은 팀의 이대연
선
임연구원은 “지금은 ‘가방’이라는 단어를 검색창에 치면 블로그, 사이트, 카페, 기사에서 굵은 글씨의 ‘가방’을 볼 수 있는 게 당연한 일이 됐다”면서 “하지만 10년 전만 해도 사정은 달랐다”고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
선
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과학과 의학, 그리고 예술을 사랑하는 진정한 괴짜 의사다 ... ...
사람 살리는 풍
선
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알록달록~ 금방이라도 터져버릴 듯 잔뜩 부풀어 오른 풍
선
수천 개가 두둥실 하늘을 날고 있다. 커다란 풍
선
다발과 함께 나무로 지은 집도 함께 떠올랐다. 평생 위대한 모 ... 치료하는 역할까지 다양한 의학 용도로 쓰이고 있다. 앞으로도 사람 살리는 슈퍼맨, 풍
선
의 대활약이 기대된다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금 책을 쥐고 있는 자신의 오른손을 펴보자. 그리고 자를 이용해 두 번째 손가락인 검지와 네 번째 손가락인 약지의 길이를 mm 단위까지 정확하게 재보자. 길이 ... 언젠간 손가락만으로 내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땐 왠지 남에게
선
뜻 손을 보여주기 어려울 것 같다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 7000원별자리를 공부할 수 있는 1인용 플라네타리움을 만들자. 계절에 따라 별자리
선
이 있는 것과 없는 것 2종류씩 총 8장의 필름이 들어 있다. 우드락으로 만든 몸체를 접어 끼운 뒤필름을 LED 전구로 비춰 관찰한다. 어두운 곳에서 벽을 향해 비추면 별자리가 나타난다. 투영기로 공부한 다음,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들면 눈으로 본 것처럼 3차원 영상이 재현되지 않을까. 바로 그런 카메라가 최근
선
을 보였다. 후지필름이 지난 8월 8일 일본에서 출시한 ‘파인픽스 리얼3D’는 사람 눈처럼 디지털 카메라 양쪽에 렌즈가 하나씩 있다. 따라서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동시에 사진 2장이 찍힌다. 다만 렌즈 사이의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세틸콜린과 함께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투여했다. 페닐에프린과 아세틸콜린은 전립
선
을 비대하게 만들어 방광과 요도를 수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쥐는 페닐에프린과 아세틸콜린만 투여한 쥐에 비해 방광이나 요도가 수축하는 정도가 적게는 약 60%에서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모양으로 생긴 이유는 뭘까?테트라포트는 정사면체의 한가운데에서 각 꼭지점을 잇는
선
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이다. 정사면체는 모든 다면체 중에서 무게중심이 가장 아래에 있다. 테트라포트 역시 같은 구조를 가져 매우 안정적이다. 큰 파도에 움직이더라도 항상 같은 모양을 유지한다. 파도의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측정하다’를 뜻하는‘meter’가 합쳐진 것이다. 지름이 원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선
을 말하는 것임을 아는 친구들은 금방 이해할 것이다. 원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radius’는 고대 라틴어로 ‘수레바퀴의 살’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우산을 펼쳤을 때 우산의 중심으로부터 뻗어 가는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용해 만든 에니악은 2진법을 썼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는 일일이 배
선
을 바꿔야 해서 불편했다. 수학자인 폰 노이만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내장된 방식의 컴퓨터를 고안했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의 조상이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