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물질이 들어 있거든요. 통째로 삼키면별탈없이 배출되지만, 부수거나 갈아서 먹으면
얘기
가 달라집니다. 아미그달린이 몸 속에 들어가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시안화가스, 즉 청산가스를 배출하거든요. 청산가스는 위 점막에 흡수된 후 핏줄을 타고 돌면서 세포조직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오랜 진화의 세월동안 변함없이 사용돼 온 뇌 속의 보상기제 활동으로 만들어졌다는
얘기
다. 외모에 대한 편견을 넘어첫인상에 대한 순간적인 판단은 이어지는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200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과 잉그리드 올슨 교수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얼굴 사진을 보여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등등.이 책을 읽다보면 인간의 성생활까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얘기
한 건 다음과 같은 경우다.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의 경우 몸집의 차이에 비해 고환 크기의 차이가 훨씬 크다. 사람, 침팬지, 고릴라 가운데 누구의 고환이 제일 클까? 당연히 덩치가 가장 큰 고릴라 같지만 정답은 침팬지로 119g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북극성은 천구의 북극에서 약 1° 떨어져 있다. 실제 천구의 북극에는 아무 것도 없다는
얘기
다. 그럼 어떻게 극축을 맞출까. 가대의 적경축 안에는 가대의 회전축을 천구의 북극에 맞출 수 있는 극축망원경이 내장돼 있다. 또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북극성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식(극망스케일)이 있다.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열린 국제수리학회를 비롯해 올해만 벌써 두 번이나 초청강연을 했다. 서 교수에게 램스
얘기
를 듣기 위해서다. 1.5차원 하천 해석 연구가 주를 이루던 학계 분위기도 최근 2차원 연구로 옮겨가고 있다. 서 교수는 이 분야에서도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애초 램스 개발 목표로 삼았던 2011년까지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우주를 동경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머지않아 그들에게도 우주에 대한 경험을
얘기
할 날이 오길 바란다. 그리고 남북이 하나가 돼 로켓을 쏴 올리고, 함께 우주에 갈 날이 곧 오리라 나는 믿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의·치의학전문대학원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점박이의 일대기다. 주인공은 왜 점박이일까. 한 PD는 “학생들이 좋아하고 드라마틱한
얘기
가 나올 수 있어 육식공룡을 선택했고 당시를 호령했던 최고의 맹수인 타르보사우루스로 정했다”며 “한국 공룡이니까 이름도 친근하게 점박이라고 지었다”고 말했다. 점박이는 콧등에 ‘몽고반점’처럼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찾아 전주행 기차에 올랐다.독일에 진출한 간호사와 결혼“천천히 커피 한 잔 하면서
얘기
합시다. 커피는 몇 스푼이나…?”오래된 건물인 자연과학대1호관 4층에 있는 최 교수의 연구실에 들어서자 반백(半白)에 단구(短軀)인 최 교수가 반갑게 맞으며 손수 커피를 타줬다. 다소 냉철한 연구자의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바뀐 사례도 있다.선행이 주는 쾌락흔히 도덕과 윤리는 인간만이 갖고 있는 특성이라고
얘기
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는 특유의 사회적 행위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도덕적 믿음에 기초해 자신의 물질적 이득을 기꺼이 희생하는 자선기부 행위를 한다. 뇌는 왜 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걸까?미국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은하수 중에서 암흑성운이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부분)도 확인했다. 사진으로 과학
얘기
하면 재밌어 “사진과 연구, 사진과 실험이 별개가 아닙니다. 연구에서 기록은 매우 중요해요. 사진은 중요한 기록매체 중 하나죠. 게다가 카메라는 광통신을 연구하는 제게 광학의 기초를 공부할 수 있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