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1만 년 전에도 인류가 문제?털매머드가 살던 빙하기는 구석기 시대 인류가 먹을 것과 살 곳을 찾아 전세계로 이동하던 시기이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 인류가 털매머드의 멸종을 이끌었다는 주장도 있답니다.사실 인류는 털매머드에게 위험한 포식자 중 하나였어요. 털매머드는 구석기 인류에게 좋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며칠에 걸쳐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비로소 야자 설탕 진액으로 병을 채울 수 있다.
자연
의 향기를 맡다음식 문화에 이은 두 번째 주제는 전통 공예 체 험! 태국 탐사대는 총 세 가지 공예품을 만들어 봤다. 먼저 현재 국왕 마하 와찌랄롱꼰의 할머 니가 관리하던 허브 농장이자 정원을 방문했다.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미분학★ 함숫값이 변화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함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 뉴턴이
자연
현상을 분석하면서 사용했다.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도 목성에 가까워지면서 조석력을 많이 받았다. 반면에 혜성이 자신의 모습을 유지하려는 힘인 응집력과 내부 중력은 일정하다. 조석력이 커지다 이 힘과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Mathematician Camp 창의력과 우정이 넘친다! 어디에도 없던 수학캠프수학은 다양한
자연
현상과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힘이 있습니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대한수학회는 수학을 좋아하는 국내 일반고 학생들이 수학의 힘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캠프에서 친구들과 함께 문제를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태양에서 오는 빛과 열을 일반 물질보다 더 발산하는 특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자연
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특성이다. 연구팀은 마지막으로 빛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은으로 얇게 코팅했다.태양이 가장 높이 뜬 정오에 실험한 결과, 필름 면적 1m2당 93W의 열을 배출했다. 비슷한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필자는 지난해 말 스페인을 방문했다. 눈부신 태양과 맑은 하늘을 기대했지만, 스페인 북부 도시 빌바오는 잿빛 하늘과 음산한 분위기로 필자를 맞이했다. 하지만 실망감도 잠시, 강을 따라 항해하는 거대한 유람선 혹은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처럼 보이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이 절로 감탄을 자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그 중에서도 러시아는 조사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미국 필드
자연
사박물관의 필립 헥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린나강 퇴적층은 퇴적 속도가 느린 먼 바다에서 생성돼 입자가 강하게 응축돼 있다”며 “우주에서 온 미소운석이 희석되지 않고 남아있기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그러나 이 사실을 (굳이) 논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임현의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자연
모사연구실장은 “비단 소프트로봇만의 문제는 아니다”라며 “예를 들어 최근 인공피부에 대한 논문이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데, 이를 시연할 때 고성능 컴퓨터나, 기본 가격이 1000만 원 이상인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깊은 지역인 사우스켄싱턴에 있습니다. 세계적인 공과대학중 하나인 임페리얼대학교와
자연
사박물관, 빅토리아&앨버트박물관이 함께 자리하고 있는 런던 과학 문화의 중심지입니다.Q 런던 과학박물관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1857년 사우스켄싱턴 박물관의 일부로 생겼어요. 1909년 런던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3. 밝혀낼 수 있는 물리현상’이 잘 조합된 연구 주제를 주신다”고 말했다.박기복 UNIST
자연
과학부 교수(왼쪽에서 세 번째)의 연구실에는 아주 특별한 장치가 있다. ‘내부광전자방출 측정시스템’이다.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표면에 금속 박막을 올려 다이오드를 만든 뒤 다양한 에너지의 광자를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