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낸 다음, 연속 동작이 그려진 긴 띠를 그 속에 넣고 원통이 돌아갈 때 틈새로 그림을 보는 장치다. 연속된 그림을 회전하고 있는 원통의 세로 구멍을 통해서 보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루는 기본 학문이다. 각종 센서를 붙여 주면, 이 센서에서 나오는 정보를 취합해 기계장치가 어디로 움직일지 계산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동작순서를 꼼꼼하게 잘 설정해 주면 자기가 알아서 척척 일을 하는 기계를 만들 수도 있다. 결국 CNC 기술이란 로봇분야의 기본 학문인 셈이다. 로봇제어 분야 ...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마인드스톰’을 수업에 활용했다. 마인드스톰은 레고 블록에 모터와 중앙처리장치를 결합시킨 제품으로, 조립만 하는 완구 형태의 레고와는 다르다.장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마인드스톰의 장점을 활용해, 실제 공장의 거대한 생산라인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2m 길이의 레고 모형으로 만들었다. ...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받을 수 있다.MISSION 5 전기를 소리로 바꾼 알렉산더 벨전화는 소리를 먼 곳까지 전달하는 장치지. 말의 음파를 전류, 또는 전파로 바꿔 멀리 떨어진 곳까지 전달하거나, 전달된 전파를 음성으로 바꾼단다. 나는 1876년 미국에서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면 자석의 성질을 갖는 원리를 이용해 전화기를 ...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줄임말로 한쪽 뇌에서 발생한 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장치예요. 반대로 CBI는 ‘컴퓨터-뇌 인터페이스’ 줄임말로 컴퓨터의 정보를 다른 쪽 뇌로 전달하지요. 한쪽 뇌의 생각대로 다른 쪽 뇌에서 반응한다고 해서 ‘아바타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였답니다. 특집 ... ...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낮추면서도 동일한 출력을 내는 기술이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은 ‘터보차저’라는 장치로, 엔진이 배출하는 가스 압력으로 터빈을 돌려 그 힘으로 실린더에 공기를 추가로 밀어 넣는다. 실린더의 원래 용량보다 더 많은 공기를 넣어 큰 출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효율과 연비가 좋아진다. 항공기 ...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국의 발명가 고(故) 구스타노 피조가 안전공학상을 받았다. 비행기 납치범을 특수장치로 보쌈한 다음 비행기 밖으로 내동댕이치면 경찰이 전파신호를 받고 기다리다가 무사히 범인을 받아서 안전하게 경찰서로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피조는 2006년 사망했지만 그 참신한 발상은 여전히 기릴 만하다 ...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 있는 기술이었으며 20세기에 초음파영상진단 및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출발점이 됐다. 또 방광경, 검안경 등의 다양한 진단기구가 개발됐는데 이는 인체의 좁은 통로를 통해 그 안의 장기에 접근해 수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로 인해 안과와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등이 ...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국 기업에 취업했다. 섬유사업으로 시작해 항공기, 우주선 등 다양한 첨단 제품과 기계장치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복합기업이다. 산하 브랜드로 벨헬리콥터, 세스나항공기 등 누구나 이름만 들으면 알 법한 굴지의 항공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에서 그가 맡은 일은 역시 항공우주 분야 ...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늘어붙은 필터는 또 다른 방사능폐기물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 현재 일본은 이 장치로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트리튬)는 희석해 방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혀 비판 받고 있다.전문가들은 “주변국인 우리나라가 좀 더 능동적으로 원전 문제에 개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강윤재 교수는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