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교육"(으)로 총 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기자교육 지금도 하나요? 어디서 하나요? 언제해요? 어색할것같은데 가도 되요?탐사기록 l20160118
- 저...기자교육 지금도 하나요? 어디서 하나요? 언제해요? 어색할것같은데 가도 되요? ...
- 똑똑한 공부기계! 스마트 엠베스트와 자유학기제란?기사 l20160117
- 설명회를 취재하였다. 자유학기제는 중간ㆍ기말고사를 보지 않는 대신 학교별로 토론ㆍ실습 수업이나 직장 체험활동과 같은 진로교육을 운영하는 제도이다.서울지역은 서울형 자유학기제에 속하고 경기 이외의 지역은 자유학기제이다. 본 기자는 서울형 자유학기제에 포함되는데, 중학교 1학년 중 한 학기동안 탐색/연계학기로써 기말고사만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자 ...
- 조금만 더 모으면 레벨6인데..!! 중학생되니깐 기자교육이랑 다른 활동들 참여할수가 없어서포스팅 l20160117
- 조금만 더 모으면 레벨6인데..!! 중학생되니깐 기자교육이랑 다른 활동들 참여할수가 없어서 포인트를 빨리 모을수 없네요ㅜㅠㅠ 예전같았으면 벌써 레벨6넘어서 7되려고 모을텐데..기자교육도 받고,다른 활동도 참여했던 초등학생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네요..!! ...
- 1차 기자교육 ["섭섭박사의 진로 특강 ‘나는 기자다!’] ["섭섭박사의 진로 특강 ‘나는 기자다!’]기사 l20160105
- ["섭섭박사의 진로 특강 ‘나는 기자다!’] 지난 2014년 2월25일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들이 1차 기자교육인 "섭섭박사의 진로 특강 ‘나는 기자다!" 교육을 받았습니다. 특강이 열린 동아사이언스 본사모습 섭섭박사 ... 주는 시간도 준비했습니다. 앞으로 2016년도 기자교육이 많이 열릴 예정이 ...
- EBS교육방송시간알려드려요포스팅 l20160104
- EBS교육방송시간알려드려요 ...
- 출처:위키백과(도라에몽) 도라에몽, 노비타, 시즈카, 타케시, 스네오, 미니도라는 남코의포스팅 l20151219
- 낙인이 찍히고 만다. 노비타 엄마와 시비가 붙어 몸싸움을 한적도 있다. 한편, 여러 명의 가정교사를 데려오는 것으로 보아 상당한 교육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끔씩 조깅 등의 운동을 하고 프랑스 요리를 하기도 한다. 1929년 생으로 추측됨. 호네카와 스네쓰구 일본 : 타쓰타 나오키 (1985), 카이다 유키 (2006) 스네오의 동생. 현재 ...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다녀오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원자구조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기사 l20151214
- Cryo-EM 신분석 기술의 창출은 물론이고, 국내·외 연구자의 세계적 연구결과 산출 및 공동연구지원 역량 강화와 바이오 EM 분석 기술의 교육을 전파해 국내 분석 인프라를 강화하고 창의적 공동연구기관으로서의 위상과 세계적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 ...
- 나는야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안양의 문화재와 명소를 소개합니다!기사 l20151211
- 만안대교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갈 때에 행렬이 편히 건너도록 했던 조선후기의 홍예석교입니다. 다른 길로 가기로 했었지만 그 길을 갈 때 불길한 일이 있다고 해서 돌아갔습니다. 원래는 다리를 나무로 놓았지만 다시 화강암과 장대석 ... 작품들을 전시되어 있는 '김중업관’과 안양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고려시대의 안양사지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한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그곳은 바로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주사전자현미경 개발업체인 (주)코셈이었습니다. 나중에 안 사실인데, 코셈의 이준희 사장은 교육사업에도 관심이 많아서 이미 몇몇 사람들에게는 SEM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락한 상태라고 들었어요. 기자도 열심히 공부하고 관찰하다보면 그런 행운이 올지도 모르겠다는 혼자만의 상상도 했답니다. 또한 KIST에서 주관하 ...
- [문화재]5학년이 되어 학교에서 역사를 배우는 데 선사시대부터 고조선, 고구려.백제,신라,포스팅 l20151206
- 체결된 현장인 중명전과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전세계에 알리기위해 파견한 이준,이위종,이상설 3인의 헤이그특사, 근대교육기관인 이화학당과 배재학당 뿐만아니라 탑만 남은 아관파천이 일어난 러시아공사관도 볼 수 있었습니다. 러시아 공사관은 그 당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여 서울에 5궁이 다 보였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힘이 얼마나 컸는지 우리나라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