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뉴스
"
다리
"(으)로 총 1,70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그래핀 차곡 차곡 쌓은 ‘이층 그래핀’
과학동아
l
2014.07.06
깃털이 잘 보존돼 있다. 화석에는 날개와 꼬리에 달린 기다란 깃털뿐 아니라 몸과
다리
를 덮고 있던 짧은 깃털이 모두 남아 있다. 연구팀은 “시조새 깃털은 부위별로 다양하고 그 형태도 복잡하다” 면서 “체온을 유지하고 몸을 장식하기 위한 기능 외에도 공기저항을 덜 받기 위한 기능도 ... ...
시조새 화석 ‘종결자’ 등장
과학동아
l
2014.07.04
대로라면 이 시조새는 마치 배기팬츠를 입은 것처럼 생겼다. 시조새 화석의 경우 넓적
다리
깃털은 길이가 40~45mm 정도로 길지만 무릎 깃털은 29mm로 짧아지고 발목 깃털은 솜털 수준으로 확연히 줄어든다. 연구진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처럼 공기역학적으로 적합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 ...
“멀쩡한 손·발 제거하고 의수, 의족 선택하는 세상온다”
과학동아
l
2014.07.03
스위스 등 다국적 연구팀이 2013년 3월 발표한 ‘바이오닉맨’를 꼽는다. 이 로봇은 두
다리
로 걷고, 카메라와 청각센서로 외부를 감지하며, 인공심장으로 인공혈액을 온 몸에 흘려보낸다. 현재 개발 중인 모든 인공장기기술을 총집합한 인조인간인 셈이다. 이 바이오닉맨의 얼굴 모델인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넣는 장면도 하이톤의 내레이션과 함께 경쾌하게 그려진다. 불쌍한 두족류가 온 몸(여덟
다리
)을 뒤틀며 벗어나려는 부질없는 시도가 지난 뒤 화면이 바뀌어 완성된 요리에 ‘조용히’ 잠겨있는 걸 보면 차라리 마음이 편하다. 우리나라도 먹고살만해지면서 분명히 동물복지도 꽤 나아졌는데 ... ...
'아이언맨'슈트 입고 외계인과 싸워라
과학동아
l
2014.06.22
약속해둔 ‘코드’를 떠올리는 방법을 써야 한다. 물 잔을 들고 마시는 쥐를 상상했을 때
다리
가 앞으로 전진한다거나, 물구나무를 선 고양이를 상상했을 때 후진한다는 식이다. 특정 생각을 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뇌파를 명령어로 이용하는 것이 주요 원리다. 브라질 시축 직전까지 과학자들이 ... ...
신약계의 ‘코펜하겐 학파’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6.17
9일 대전에서 열린 '혁신신약살롱'에 다양한 기관의 신약개발연구자들이 모여 토론하고 있다. - 사노피 제공 지난 9일 저녁, 대전의 한 바이오벤처 사무실에서 특별한 ‘살롱’이 열렸다. 대학 교수부터 벤처와 글로벌제약사의 연구개발(R&D) 담당자까지, 신약 개발이라는 한 목표를 향해 ...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브라주카’를 뻥~
과학동아
l
2014.06.14
신경세포인 뉴런에서 미세한 전기신호를 일으켰다. 컴퓨터가 이 신호를 해석해 로봇
다리
를 움직인 것이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움직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장재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은 “뇌파만 감지해 로봇을 움직인다는 건 웨어러블 로봇 기술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며 ... ...
영화 속 ‘로봇 손’에 대한 고찰
과학동아
l
2014.06.01
만능으로 일을 하는 기계장치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설령 사람처럼 두
다리
로 걷는 로봇도, 작업의 성격에 맞춰 여러 가지 모양의 집게손을 붙여 주는 일이 많다. 다른 작업이 필요하다면 아예 손을 갈아 끼우는 편이 유리하기 때문. 영화에서 인조인간 에드워드의 가위손은 ... ...
늙은 줄기세포 고쳐 골다공증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6
촉진하는 물질은 억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실제로 이 유전자를 없앤 쥐의
다리
뼈에 해당 유전자를 다시 이식했더니 뼈가 정상 쥐와 비슷하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골수줄기세포에 NF1-C 유전자를 주입하면 뼈모세포로 많이 분화하고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양은 줄어든다는 것이다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않는다. 새는 날 때 꼬리 쪽으로
다리
를 쭉 펴는데, 표지 속 유럽울새는 착륙할 때 처럼
다리
를 배쪽으로 접었다. 마치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망설이는 것 같다. 유럽울새를 고민에 빠뜨리는 것은 바로 울새 뒤에 희미하게 보이는 실선이다. 실선은 전자파를 형상화한 것이다. 독일 올덴부르크대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