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속"(으)로 총 1,9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진관] 너와 함께한 모든 시간이 눈부셨다동아사이언스 l2018.04.24
- 대사 中- 작품명 | 푸른 도깨비 Blue Dokkaebi 작가 | 이유리 연구원 (yuree@ibs.re.kr) 소속 |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작가의 말 위 사진은 꽃잎과 꽃받침 등 꽃의 기관 일부가 떨어지고 난 후 꽃의 모습이다. 모델식물인 애기장대* 꽃을 세포벽을 염색하는 시약(calcofluor white)으로 처리하고 형광 ... ...
- [과학사진관] 낙엽 타는 밤마다 죽음이 향기로운 가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3
- Leaves blowing in the wind: Inside the brain of living zebrafish 작가 | 김문석 연구원 (optiker01@gmail.com) 소속 |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작가의 말 본 작품은 수정 후 2주된 제브라피시(zebrafish)* 후뇌부 영역을 촬영한 3차원 영상이다. 살아있는 생체를 염색하지 않고 그대로 고해상도 적응광학 현미경 ... ...
- [과학사진관] 나는 믿어요. 지금 흘리는 눈물방울마다 새 꽃이 피어날 것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0
- 꽃' 中- 작품명 | 약한 자의 슬픔 Sorrow of the weak 작가 | 이유리 연구원 (yuree@ibs.re.kr) 소속 |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작가의 말 칼슘*은 식물 성장에 매우 중요한 필수 영양소이다. 칼슘은 세포벽과 세포막 구성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에 전달자로 역할을 수행한다. ... ...
- [과학사진관] 나무는 겨울에도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2018.04.19
- The Message from the past 작가 | 연구원 Axel Timmermann, Karl Stein, Elke Zeller (timmermann@pusan.ac.kr) 소속 | 기후물리 연구단 작가의 말 "나무 기둥 단면에 보이는 동그란 테두리들은 나무가 살아온 연수를 나타내고, 테두리들 사이 간격은 습하고 건조한 정도를 나타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Trattato della ... ...
- [과학사진관]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동아사이언스 l2018.04.16
- 흐르는 강 The stream of river flowing in our eyes 작가 | 김재령 연구원 (jaeryung502kim@gmail.com) 소속 | 혈관연구단 작가의 말 초록색 기둥을 보라색 넝쿨이 감싸 안고 있는 듯한 이 사진은 우리 눈의 쉴렘관*과 혈관을 촬영한 것이다. 우리 눈은 눈 속에서 생성되는 방수로 안구 형태와 안압을 유지한다. ... ...
- [과학사진관]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2
- 작품명 | 폭풍우 치는 밤 Stormy night 작가 | 박승부, 이순선, 추정은 (seungbu@pusan.ac.kr) 소속 | 기후물리 연구단 작가의 말 허리케인(태풍)이 가진 파괴력은 두려움의 대상이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든 태풍 이미지는 전례 없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이 이미지는 인도양에서 ... ...
- [2018년 필즈상] 환호와 충격 안긴 연구로 후보에 오른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 수학동아 l2018.04.12
- //event.dongascience.com/fields2018 국적 | 호주 생년 | 1981년(만 37세) 연구 분야 | 표현론 소속 | 호주 시드니대학교 수상 | 클레이 수학상(2016), 유럽수학상(2016), 브레이크스루상 뉴 호라이즌(2017) 수학자가 점치는 필즈상 2순위는 호주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입니다. 2018 필즈상 예측 ... ...
- [과학사진관] 경고! 지나친 현미경 사용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 사이키델릭한 액정 Psychedelic liquid crystals 작가 | 카렐 구센스 연구원 (kg24569@ibs.re.k) 소속 |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작가의 말 교차된 평광판을 통해 관찰되는 액정(liquid crystal)의 부채꼴형 결함(fan-like defect) 문양은 경고 메시지를 잊게 할 만큼 흥미로워 한참을 들여다봐도 지루하지 않다. ... ...
- [과학사진관] 난 죽을 수도 있어요.사랑을 위해서라면동아사이언스 l2018.04.10
- 묘약' 中- 작품명 |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작가 | 황정미 연구원 (hjm072@ibs.re.kr) 소속 |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작가의 말 하트모양의 단백질은 전쟁터에서 극적으로 만난 생존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단백질과 단백질의 결합을 분석하는 CUPID 기술을 이용해 포착한 이미지다. 빨간색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무엇에 자신을 이입해서 자존감을 방어하는 현상이다(Hogg & Sunderland, 1991). 자존감을 소속 집단에 위탁하는 정도가 클수록, 자신이 속한 집단 내에서 도덕적인 문제가 불거지기라도 하면 ‘이런저런 문제가 존재하는구나. 해결해야겠다’가 아니라 엉뚱하게도 ‘그런 문제는 없다! 우리는 잘못한 게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