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전하 이동 막아 정전기 센서 성능 오래 유지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9월 게재했다고 29일 밝혔다. 정전기 소자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이 마찰할 때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
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차세대 전력 공급원으로 주목받지만 마찰 전기가 시간이 점점 약해져 반복적인 접촉과 충전 과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열가소성 분자에 자외선을 쏴 사슬 구조를 만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다른 엔트로피의 개념과 이를 나타내는 수식을 제안했다. 클라우지우스는 “우주의
에너지
는 일정하다. 반면 우주의 엔트로피는 최대를 향하는 경향이 있다”고 썼다. 오늘날 엔트로피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고 보면 조립(A)은 엔트로피와 반대되는 특성이다. 즉 ... ...
가동 13분만에 초미세먼지 나쁨에서 좋음…교실 청정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배기구)가 최적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공기 정화 장치에는 낮은
에너지
를 사용하면서 교실 내부의 미세먼지를 상시로 저감시킬 수 있는 식물 토양 정화장치도 포함됐다. 식물 토양 정화장치는 식물의 잎뿐만 아니라 토양 자체도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로 이용할 수 있다. ... ...
한국 플라즈마 기술로 美서 바이오디젤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미국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플라즈마 블루사는 미국 지역에서 바이오
에너지
분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비독점적 기술 실시권을 제공받게 된다. 플라즈마 블루는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 원료를 가공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개발에 이번 기술을 ... ...
2060년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최대 2.2도 상승…강한 태풍 영향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빈도와 강도 증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높은 해수면온도는 태풍의
에너지
를 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층염분 감소는 해양 성층을 강화해 해수면온도의 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상청은 “서해에서 나타나는 해수면온도 증가와 표층염분 감소는 미래에 강한 태풍의 ... ...
[과기원NOW]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개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KAIST 인공지능 반도체 대학원 개원식. KAIST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KAIST가 14일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개원식을 KAIST 정보 ... 향상시키고 열 안정성도 약 30%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지난 10월 6일 온라인 게재됐다. ... ...
[나는1저자다] ⑤"인력 유입 끊기면 세계 최고 수준 연구경쟁력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제조업 강국으로 올라섰다. 그런데 지금 국가에서 어젠다로 올려놓은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
기술들이 많다. 상용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분야로, 기초 연구가 오랜 기간 지속돼야 하는 분야다. 이를 위해선 인적 자원이 매우 중요하다. 반도체는 결국 인력이었다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데 우리 ... ...
한국 지속가능발전 R&D 수행률 0%…"글로벌 영향력 미미"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있다. 7번째 목표인 '
에너지
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
에너지
의 발전 비중을 2018년 8.88%에서 2030년 30%, 2040년 35.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기준 709.1메가톤(MtCO2eg)에서 2030년 24.4% 감축한다고 발표했다. 선 단장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 ...
자유자재로 모양 바꾸고 아무데나 붙였다 떼는 '초박형 스피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고현협
에너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과 함께 스피커 자체의 형태를 바꿔 소리의 방향을 조절하는 '맥신 초박막 스피커'를 개발해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 16일 게재했다고 28일 ... ...
한국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고성능 '나노레이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마이크로미터(㎛)이상으로 크면서도 성능이 낮았다. 초소형 레이저 장치의 경우 작은
에너지
에도 동작했지만,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량인 각운동량의 특성까지 초소형 레이저 빛에 담는 것은 이제껏 성공한 사례가 없었다. 빛의 각운동량을 계산·조절하는 것은 레이저 개발의 핵심이다.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