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회지
시가지
도회
읍
시티
시
시내
d라이브러리
"
도시
"(으)로 총 2,8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남반구의 별자리를 언제 또 찍을 기회가 있겠냐 싶었다. 낮에는 학회에 참석하고 밤에는
도시
이곳저곳을 배회했다. 남십자자리와 켄타우루스자리를 찾아 셔터를 눌러댔다. 책에서만 보던 ‘석탄자루’로 불리는 콜색(은하수 중에서 암흑성운이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부분)도 확인했다.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말 미국의 전기공학자 니콜라 테슬라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모든
도시
, 건물에 전선을 설치하는 작업에 대한 대안으로 무선기술을 제안했다. 당시 테슬라가 제안한 기술은 150kHz의 라디오파에 전기를 실어 보내는 것이었다. ‘전자파에 에너지를 싣는다?’ 다소 엉뚱해 보이는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노벨상 수상자를 길러냈고, 사카타는 나고야대에서 올해의 두 노벨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
히데와 고바야시 마코토를 키워냈다. 결국 일본의 입자물리학 역사는 이화학연구소의 니시나 연구실에 뿌리를 두고 있는 셈이다.온 세계가 전쟁의 포연으로 뒤덮였던 시절, 고립된 상황에 있던 일본의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없는 사람들이 모인
도시
모스크바. 알리사는 이곳에서 휴대전화 모양의 인형 옷을 입고
도시
를 돌아다니며 휴대전화를 홍보하는 아르바이트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이내 망사창을 통해 세상을 보는 색다른 재미에 푹 빠진다.그러던 어느 날 밤 알리사는 모스크바강 다리에서 뛰어내리는 남자를 ... ...
“깨끗해요~!” 탄소 배출 없는
도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그리고 일반 버스 대신 무인전기자동차를 대중교통으로 이용하게 되지요.무공해
도시
에는 시민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는 시스템도 설치할 계획이에요. 그러면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쓴 시민에게는 공과금을 걱정하라는 경고가 울리게 돼요. 이 정도면 에너지를 아끼지 않고는 못 배기겠죠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흡수해 건물의 진동을 줄인다.500층, 높이 2001m로 한라산(1950m)보다 높고 웬만한 중소
도시
인구(30만 명) 전부를 수용할 수 있는 건물, ‘에어로폴리스2001’. 일본이 1990년대 중반 설계한 초고층 건물이다. 김 박사는 “허무맹랑할 것 같은 이런 건물도 제진기술이 발달한다면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 ...
낙하하는 빗방울의 속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다음과 같다.dP(t)/dt = kP(t) (k : 비례상수)k는 인구 변화의 특성을 보여주는 비례상수로 그
도시
의 특징이다. 주어진 식으로 다음 과정을 거쳐 P(t)를 구한다.1/P dP/dt = k양변을 t로 적분하면∫1/P dP/dt dt = ∫kdtlnP(t)= kt+ CP(t)=eC·ekt여기서 t=0일 때 인구 P(0)=P0 를 이용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건설하는 대규모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다.ITER 프로젝트는 2006년부터 프랑스 남부의 소
도시
카다라쉬에 짓기 시작한 세계 유일의 핵융합실험로를 2015년까지 완공하고, 그곳에서 지난 40년 동안 세계 핵융합실험 장치들이 이뤄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할 수 있는지 검증할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회의에서 ‘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소
도시
자연과학협회 회원들은 대부분 공무원이거나 상인이었으므로 그의 실험에 대한 이해력이 매우 부족했습니다.나중에 다윈의 서가에서 개봉도 안 된 그의 논문이 발견됐습니다. 만약 그의 논문이 이름 없는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립호스를 이용해 재조합했다.연구팀은 화산폭발로 일순간에 사라져 버린 그리스 고대
도시
‘아크로티리’의 벽화에 이 기술을 시험했다. 그 결과 그립호스는 고고학자들이 찾아낸 벽화 조각 12쌍 가운데 10쌍을 정확히 찾아냈을 뿐 아니라 고고학자들이 미처 알아내지 못한 조각쌍 2개도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