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확률형 아이템 논란, 득템이 어려운 진짜 이유는?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모두 더해 가 나옵니다. 반면 뽑았던 공을 다시 넣지 않는다면 1~4번째에 뽑을 확률을 모두 더해 1이 나오죠. 후자의 경우 4번의 기회 중 한번은 무조건 빨간 공을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독립사건이기 때문에 4번을 도전해도 빨간 공을 뽑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물론 시행횟수를 ... ...
- [하비맨] 달려라, 달려라, 달려라, 미니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출력이 100마력이면 바퀴 하나당 50마력의 동력을 받죠.사륜구동 방식은 네 바퀴 모두에 동력이 들어가서 바퀴 하나가 미끄러져도 잘 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험한 길을 잘 달리기 위해 만들어진 SUV 차량에 많이 사용됩니다. 미니카는 어떨까요? 미니카의 정식명칭은 ‘미니 4WD’입니다. 시중에서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개체가 스스로 깃을 손질해 제거할 수 있는 양은 억지로 제거하지 않는다. 끈끈이를 모두 제거하고 날개깃과 체력이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자연으로 돌려보낸다.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동물의 수를 조절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끈끈이는 작은 동물들을 무차별적으로 위협한다. 끈끈이 대신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기록했다. 노르웨이와 일본, 중국 등 외국 기관과 협업해 식물을 그리기도 했다. 모두 식물세밀화의 필요성을 호소해 관련 사업을 추진하도록 설득한 결과다. 최근에는 식물을 원료로 하는 화장품, 제약, 섬유, 제과, 대중음악과 영화 관련 기업에서도 식물세밀화를 요청하고 있다. 식물세밀화가 ... ...
- [헷갈린 과학] 달콜달콤해! 사탕 vs 캐러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버터 등 유제품을 넣으면, 단단한 설탕 제형이 부드러워진답니다. 캐러멜이나 사탕은 모두 작은 양에 비해 아주 높은 당분을 갖고 있어요. 한 개 만으로 일일 탄수화물 권장량의 2~3%를 채울 수 있지요. 사탕은 크기가 작아서 여러 개를 한꺼번에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 ...
- 에어택시, 하늘이 일상으로 들어오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eVTOL)이라 한다.현재 전 세계에서 개발되고 있는 UAM 기체는 400종 이상으로 형태가 모두 제각각이다. 분산 전기 추진 기술 때문이다. 기존에는 한두 개의 추진체(모터)를 사용했기 때문에 비행기, 헬리콥터처럼 형상이 고정돼 있었다. 반면 UAM은 보통 8개 이상의 추진체를 사용하며, 개발사마다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런 특이한 강력의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 앨리스팀은 입자를 충돌시켜 쿼크와 글루온이 모두 녹아내린 상태인 ‘쿼크-글루온 플라스마’를 만들어 강력을 추적했다. 하지만 양성자나 중성자를 구성하는 위, 아래 쿼크를 제외한 나머지 4종의 쿼크를 포함하는 강입자들은 붕괴 속도가 너무 빨라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AI 학습 알고리듬은 처음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거나 이를 통해 답을 찾아갈 때 모두 경사 하강법을 사용합니다. 여러 데이터는 알고리듬 내에서 여러 겹의 행렬층으로 존재하는데요. 미분으로 각 행렬층의 데이터에 대한 오차를 계산해 오차범위 밖의 값을 가지는 층의 데이터를 제외하거나 전체 ... ...
- [기획] 17세기에도 있었다! 수학자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뒤바꿉니다. 얼마 뒤 사건의 진실이 드러나 다행히도 유체역학에서의 중요한 발견은 모두 다니엘의 몫이 됐습니다. 지금까지도 다니엘은 “젊은 베르누이 중 가장 유능한 사람”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이 교수의 뛰어난 수학 실력도 있지만, 광복 뒤 일본인 교수들이 모두 떠나면서 졸업생 가운데 실력이 우수한 사람을 뽑아 교수로 임명하던 시대적 상황도 있습니다. 이 교수는 현대대수학, 고급정수론, 위상수학 등을 가르쳤습니다. 그 시기에는 그랜빌(Granville), 스미스(Smith),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