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백금을 발견한 스페인 정복자들은 은을 뜻하는 단어 ‘plata’와 비슷한 ‘platinum’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당시 스페인 사람들은 백금을 쓸모없는 금속으로 여겨서 채취하는 족족 버렸다고 해요. 하지만 백금은 현재 귀금속으로 대접받고 있어요. 장신구는 물론이고, 화학반응에서 촉매로 작용해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화학자들은 리제 마이트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2년 새로 발견한 109번 화학원소의 이름을 ‘마이트너륨’으로 지었답니다. ● 바버라 매클린톡부모에서 자식으로 물려지는 특징을 만들어내는 유전 정보의 단위를 유전자라고 해요. 20세기 초만 해도, 유전자는 염색체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기다린 덕분에 다행히 온전한 립밤을 얻을 수 있었지요. 그뒤 스티커 종이 위에 자신의 이름을 쓰거나, 캐릭터를 그려 나만의 립밤을 완성했답니다. 이번 메이커 스쿨에 참가한 정유민(수원 효동초) 친구는 “스스로 립밤을 완성해서 뿌듯했고, 섭섭박사님과 함께 만드니 더욱 기뻤다”고 소감을 ... ...
- [화보] 현미경 속의 너의 이름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현미경에 눈을 갖다 대면 평소에 볼 수 없는 세계가 펼쳐져요. 일본의 카메라·현미경 회사인 니콘은 매년 현미경 사진 공모전인 ‘니콘 스몰 월드‘를 진행해 신비롭고 재밌는 사진들을 선보이지요. 지난 10월에 발표된 올해의 수상작을 친구들에게 소개합니다. 무엇을 확대한 사진인지 추측하며 ... ...
- 나도 여성 과학자가 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남자인가요, 여자인가요? 피부색은 어떤가요? 이 실험은 ‘과학자를 그리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유명한 연구예요. 데이빗 웨이드 챔버스라는 과학사학자가 어린이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지요. 올해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심리학 박사과정 ...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사인회예요. 독자들은 평소 좋아하던 작가님을 찾아 줄을 섰어요. 작가님은 독자의 이름을 하나, 하나 물어보며 정성스레 사인을 해주었답니다.팬파티를 처음으로 찾은 박동현 작가님은 “내 실수로 공든 탑을 무너뜨렸을 때 당황했는데, 한 친구가 다시 쌓으면 된다고 편하게 말해줘서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남자인가요, 여자인가요? 피부색은 어떤가요? 이 실험은 ‘과학자를 그리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유명한 연구예요. 데이빗 웨이드 챔버스라는 과학사학자가 어린이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지요. 올해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심리학 박사과정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알아낼 수 있지요. 그러면 연구노트는 어떻게 쓸까요?“가장 먼저 날짜와 장소, 연구자의 이름을 적으세요. 그 다음 무엇을 연구했고, 연구를 통해 어떤 것들을 알게 되었는지 적으면 된답니다. 중간 중간 떠오르는 아이디어들도 놓치지 않도록 바로 적어 주는 게 좋아요.”지사탐 대원들은 장이권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혓바닥이 삐죽삐죽 ,기수갈고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지역이라고 하지요. 이번에 소개할 연체동물 ‘기수갈고둥’은 기수 지역에 살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기수갈고둥은 다슬기처럼 물속의 돌에 붙어 살아요. 배가 고플 땐 ‘치설’이라는 기관을 혀처럼 내밀어 돌에 붙어 있는 조류를 살살 긁어내지요. 이빨과 혀를 뜻하는 치설(齒舌)은 혀처럼 ... ...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교육으로 전하고 싶답니다.김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만 생각해요. 이름부터가 ‘물’에서 나는 ‘고기’잖아요. 어린 친구들이 물고기를 한 종이라도 더 알게 되면 물고기를 우리의 친구이자, 지켜줘야 하는 대상으로 생각하게 될 거라고 믿어요. Q 앞으로 어떤 연구자가 되고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