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색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호주 멜버른대 앨런 베이커 교수에 의하면 중금속을
저장
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이 세계적으로 440종이 넘는다고 한다. 지난해 집계를 보면 약 10%인 44개의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 기술이 특허를 받았거나 특허 심사 중인데, 이 중 중금속 정화에 관련된 기술이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농도를 높이는 정도를 의미한다. 당지수가 높으면, 즉 혈당이 많아지면 체지방을 더 잘
저장
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많이 나온다. 따라서 당지수가 낮은 식품을 섭취하는 게 체중조절에 유리하다. 이것이 바로 ‘저인슐린 다이어트’다.콩 중에서도 특히 검은콩은 검은깨, 검은쌀과 함께 최근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유전자에서 찾고 있다. 사람마다 다른 유전적 다양성이 영양소를 흡수하고, 대사시키며,
저장
하고 배설하는 능력에 차이를 만들어 결국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요즘 각광받고 있는 ‘영양유전체학’의 기본 전제다.서양인이 우유 잘 마시는 이유염색체에 새겨진 유전자 정보의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이전에 봤던 단어들이 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저장
돼 있다가 이 같은 특수한 기억검사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인지심리학자와 인지신경과학자들은 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을 ‘외현기억’, 그렇지 못한 기억을 ‘암묵기억’이라고 구분해왔다.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어린이들이 바나나를 먹으며 질병을 예방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죠. 주사 백신은
저장
, 수송 과정에서 변하기 쉬워 저개발 국가들이 이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먹는 백신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바나나다. 안첸 박사는 지난해말부터 남아프리카에서 백신 바나나를 재배하는 연구를 하고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설치돼 있다. 관측값은 거의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울대 기후물리연구실 컴퓨터에
저장
된다(http://cirrus.snu.ac.kr). 이곳에서 산출된 이산화탄소의 순생태계교환량이 양(+)의 값을 가지면 숲은 이산화탄소의 배출원, 음(-)의 값을 가지면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이 된다. 2003년 관측소 설치 이후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셀룰로오스로 이뤄져 있다. 지천에 널린 나무와 잡초 등이 모두 살아있는 셀룰로오스 ‘
저장
고’인 셈.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이 여러 개 결합한 고분자이기 때문에 셀룰로오스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기만 한다면 바이오에탄올을 쉽게 얻을 수 있다.셀룰로오스 분해 효소를 가진 미생물을 사용하면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동안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이 굶주려 살아왔기에 가능한 에너지를 적게 쓰고 많이
저장
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생존에 더 유리했다는 것이다. 자동차로 치면 연비가 좋은 제품이 살아남은 셈.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비만으로 보고 있다. 또 서양에서는 허리둘레가 남자 10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조그만 반도체 하나에 수천 곡의 음악이나 70년 동안 발간된 40면 신문 기사 내용을 모두
저장
할 수 있을 정도니 굉장하죠?나노의 세계는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절대로 볼 수 없어요. 빛을 이용한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나노 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 속도가 느릴 수밖에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불리는 길게 뻗은 돌기를 향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다가 축삭의 말단에 이르면 그곳에
저장
돼 있던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게 한다. 이렇게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은 이 축삭과 가까이 접해 있는 또다른 신경세포 돌기에 위치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결합한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그 신경세포의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