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투복에 사용되는
첨단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21세기
첨단
과학기술로 일컬어지는 나노기술이 앞으로 갖가지
첨단
무기와 장비의 개발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전망이라고 최근 밝혔다.나노기술로 생산된 새로운 재료의 두께는 머리카락 한가닥의 1/1백 정도로 얇아진다. 이런 재료를 기존의 재료와 적절히 혼합해 만들면 ... ...
항암 치료 최전선 인류 최대의 난적 암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아니라 암의 근본 원인인 유전자를 공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세포만 파괴하는 최
첨단
저격수, 글리벡도 개발됐다. 더욱이 한의학도 든든한 우방을 자처하고 나섰다는데…. 동서양 연합군의 전투가 한창인 암 정복의 최전선으로 가보자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적군(암)과 전선에서 맞붙어 암세포들과 죽고 죽이는 재래식 전투라면, 유전자 치료는 최
첨단
미사일과 적에 관한 세세한 군사지도에 근거해 적군의 지휘소(유전자)를 파괴하는 것이다.유전자 치료는 전혀 새로운 발상인 만큼 그 가능성도 열려있다. 이 같은 이유에서 유전자치료는 암치료의 제5세대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탐사를 위한 12가지의 신기술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이 모두가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최
첨단
기술이다.이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특징은 우주탐사선으로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이온추진방식의 주엔진을 채용했다는 점이다. 탐사선은 현재 보렐리혜성에 대한 근접탐사 이후 사실상 모든 미션을 마친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chip과 DNA칩으로 대표되는 생의학 분석화학분야는 미래의 생명공학과 분석화학을 주도할
첨단
과학이다.포항공대 생명공학과의 최관용 교수는“Lab-on-achip과 DNA칩 기술은 화학, 생명, 환경, 제약, 의료보건등의 광범위한 산업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하지만 이 분야를 연구하기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전 백열전구에서 나오는 빛만을 사용하던 시절에 비해 레이저가 발명된 후 과학과
첨단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원자레이저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대략 짐작해볼 수 있다. 물론 레이저가 처음 발명됐을 당시 사람들은 별로 쓸데없는 것으로만 생각했고 실생활에 응용되는데는 ... ...
하늘에서 땅속까지 대통령을 사수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있는 것으로 알려진 네브라스카 전략공군사령부는 백악관의 상황실과 비슷한 정교한 최
첨단
지휘통제장비를 갖추고 있다. 벙커 주위를 수m의 콘크리트로 에워쌌기 때문에 웬만한 핵공격에도 끄떡없다.핵전쟁과 생화학 무기전을 대비한 지하벙커는 백악관 내에도 있다. ‘대통령 비상 작전센터’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
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2대 이상을 실전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그 밖에도 특수부대를 지원해줄 최
첨단
병기는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모두 일급군사비밀로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이슬람은 테러의 화신? 이슬람 문명은 테러와 불가분의 관계인가. 미국 연쇄테러 참사의 배후에 오사마 빈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미지를 얻는다.갤러리에 등장하는 화려한 나노의 모습을 고성능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첨단
그래픽 툴을 이용한 결과다. 이로 인해 좀 더 3차원 이미지를 부각시킬 뿐 아니라, 나노세계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윤곽뿐 아니라 SPM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이나 표면 마찰력과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난 한세기 동안 인류는 마이크론의 세계(1μm= ${10}^{-6}$m)까지 정복했다. 그 결과 현재 최
첨단
펜티엄 칩 속에 있는 트랜지스터는 소자 하나의 크기가 불과 수분의 1μm에 지나지 않는다.그러나 현재 전자산업은 소형화 기술로 좀더 다양하고 빠른 성능의 전자소자를 만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반도체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