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1급 멸종위기종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있지. Q 얼룩새코미꾸리를 도와줄 방법이 없을까?A 멸종위기종을 보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인공적으로 숫자를 늘려서 방류하는 거야. 그러려면 먼저 해당 종이 정확히 어떻게 번식하는지 알아야 해. 지난 3월,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과 방인철 교수팀은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을 관찰한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있어요. 그중 하나는 대포의 일반 공격(포)을 의미하는 ‘fire_shooting_a’ 오브젝트와, 다른 하나는 특수 공격(폭탄)을 의미하는 ‘effect_boom_b’ 오브젝트와 충돌했을 때 몬스터의 HP가 깎이도록 하는 명령이지요(➋). 몬스터의 HP가 0보다 작아지면, 몬스터가 죽었음을 의미하는 ‘isDestroyed_A’나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혼개통헌의는 나라에서 지정한 보물로 동양의 전통 우주론을 하나의 원판형 기기에 통합한 천문시계입니다. 중국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천문시계인 ‘아스트롤라베’를 조선의 실학자 유금이 재해석해 1787년에 만들었죠. 혼개통헌의는 모체판이라는 큰 판과 성좌판이라는 ... ...
- [매스크래프트] #21. 에펠탑과 도쿄 타워는 닮은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하나의 도형을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각형은 다른 다각형보다 적은 조건으로 단 하나의 도형을 그릴 수 있어요.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질 경우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은 딱 1개입니다. 반면 네 변의 길이가 주어질 때 만들 수 있는 사각형은 여러 개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변의 길이가 6인 ... ...
- [수학기자의 책장] 너의 굶주린 뇌를 채워줄 수학비타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몸의 다양한 생리 작용에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인 비타민은 ‘넘쳐도 문제, 부족해도 문제’입니다. 딱 필요한 만큼만 있으면 되죠.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수학자가 아니라면 나의 일상에서 마주칠 만한 궁금증을 해결할 만큼의 수학만 알면 되지 않을까요? 2020년 1월 코로나19가 국내에서 처음 ...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 관측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직접 관측하기란 매우 어렵다. 외계행성은 두 가지 요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나는 외계행성이 궤도를 따라 이동하던 중 외계항성과 지구 사이에 위치한 순간 외계항성이 발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외계행성이 공전하면서 주변 중력에 영향을 줘 외계항성이 미세하게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플라스틱을 녹여 새활용 제품으로 재탄생시킨 후, 보상으로 참여자에게 새활용 제품을 하나씩 보내주는 프로젝트다. 이 대표는 “현재 환경문제의 해법은 물이 오염되면 더 나은 물을 팔고, 공기가 오염되면 더 나은 공기를 파는 식으로 자본주의와 연계돼 있다”며 “플라스틱 문제도 마찬가지로, ... ...
- [SF 소설] 화성의 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내려갔다.최윤옥은 동료들이 건내 준 조각들을 하나씩 모아 2층 여자 화장실에 들어가 하나로 조립했다. 속을 도려낸 ‘골짜기의 백합’ 일본어 번역본 안에 벌레와 면도칼, 개 호루라기를 숨기고 여자화장실에서 나오는데, 아랫배를 움켜쥔 구로즈미 총독이 뒤뚱거리며 옆의 남자화장실로 달려가고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Q&A 궁금해요!사람의 심리를 분석해 범행을 추리한다? Q프로파일러는 무슨 일을 하나요?드라마에서 프로파일러가 “너가 바로 범인이야!”라고 외치며 범인을 콕 집는 장면 본 적 있나요? 사실 그렇지는 않아요(웃음). ‘Profile’이라는 말이 윤곽을 그린다는 뜻인데, 프로파일러는 말 그대로 ... ...
- [매스미디어] 베이비에게서 벽이 느껴져! 바로 '완벽!' 보스베이비2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강조하려고 ‘원숭이가 타자를 친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자신이증명한 확률 이론 중 하나인 보렐-칸텔리 보조정리를 이용해 이를 증명했다. 이 이론은 어떤 사건을 한 번 시행했을 때 나오는 확률부터 무한 번 시행한 확률을 모두 더한값이 무한대라면 이 중에서 한 번 이상은 확률의 극한값*인 1이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