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스페셜
"
위
"(으)로 총 2,1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엔진 내부로 기름방울이 분사될 때 방울 내부와 기체분자 농도가 높은 방울 표면 바로
위
공간에 산소가 부족해 고온에서 화학반응(열분해)이 일어나는 순간 완전히 산화되지 못하고 아세틸렌 같은 작은 분자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들 분자 사이에서 연속적인 반응이 일어나 분자가 점점 커지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존경과 사랑에 빠지는 기쁨
2018.12.01
함께 보고픈 마음을 갖게 한다. 가수나 배우들의 멋진 퍼포먼스를 담은 영상들이 소
위
‘입덕 영상’이라고 돌아다니며 뫄뫄를 보지 못한 사람들이 없게 해달라는 이야기들 또한 비슷한 맥락일 수 있겠다. 개인적으로 이들 감정에 관심이 가는 이유는, 순수하게 어떤 사람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이른 것 아닐까. 바야흐로 TV 디스플레이가 ‘사람의 눈을
위
한 기술’에서 ‘매의 눈을
위
한 기술’로 넘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씨앗을 고정하고 아래에서
위
로 종단속도의 바람을 보내면(자유낙하에 해당) 씨앗 갓털
위
에 좀 떨어져서 소용돌이 고리가 생기고 안정되게 유지됨을 볼 수 있다. 민들레 씨앗의 평균 종단속도가 초속 39.1㎝에 불과해 공기 중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건 소용돌이 고리로 양력이 생겨 공기저항이 커진 ... ...
[과학게시판] KAIST 중소기업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세계대학평가에서 11년 연속 국내 1
위
,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 부문에서 4년 연속 세계 3
위
를 기록했다. ■ 국립과천과학관이 ‘2018년 창의과학아카데미 겨울학기’ 수강생 846명을 모집한다. 창의과학아카데미는 청소년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재미있는 주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포괄적으로 진행된 작업으로 15년의 걸친 분석 작업의 결과”라며 “각각의 세포가 특정
위
치에 왜 존재하는지 등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③사회주의식 우주개발 벗어나 국제협력 나선 러 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자리에서 기자 회견을 갖고 “상업
위
성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사업확장을
위
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에네르고마시社 이고리 아르부조프 회장 러시아는 민영화를 통해 발사체 기술을 한층 성숙시켜 나가는 한편, 국제협력을 통한 관련 우주기술 수출에도 한층 더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
성 쏜다…소형
위
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시장이 커지는 만큼 경쟁 기업은 계속 나올 것으로 본다”며 “최초로 하늘에서
위
성을 쏘는 실험을 진행하는 만큼 기술을 최적화 해 승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주인 수송부터 우주정거장 건설까지 민간 확대 미국은 우주선 발사뿐 아니라 국제우주정거장(ISS) 건설 등 다양한 ... ...
[과학게시판] 미래 원자력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2
밝혔다. 이 대회는 전문기술을 교류하고 미래 자동차 시장을 주도할 대학생을 양성하기
위
한 대회로 올해 처음 개최됐다. 서울대 다양한 학부에서 총 16팀이 출전해 기술과 지식을 겨뤘다. 대상은 '자기열량효과를 이용한 차세대 친환경 배터리 온도 제어 시스템'을 발표한 이제승, 이종민, 전윤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제공 참고로 은여우는 붉은여우의 변종으로, 19세기 후반 캐나다에서 모피를 얻기
위
해 사육하기 시작했고 그 뒤 러시아에서도 대규모로 길렀다. 비록 우리 속에서 사람이 주는 걸 먹으면서 살지만 성격은 야생 그대로여서 사람을 피했고 막다른 골목에 몰렸다고 생각하면 공격했다. 그럼에도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