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15 그림으로 보는 월드컵 별별 기록!월드컵은 올림픽과 더불어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스포츠 축제로, 한 가지 종목으로 이뤄진 세계 대회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84년째다. 지난 80여 년에 걸쳐 월드컵 대회는 무려 19회나 열렸고, 이를 통해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이후 공주는 100년의 시간이 흘러 저절로 깨어난다.이 동화는 그림형제에 의해서도 1812년 출판되는데, 여기서는 요정이 아니라 마법사가 등장한다. 그 수도 무려 13명이나 된다. 나머지 이야기는 페로의 동화와 아주 유사하다. 다만 마지막 장면이 조금 다르다. 오로라 공주는 1 ... ...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게임의 규칙으로 정하는 것이다. 규칙을 모두 정하고 나면 이것이 적용된 1단계 게임을 그림으로 그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3 게임 스토리 짜기이제 이 게임을 하는 목적이 들어날 수 있도록 게임의 스토리를 재미있게 짠다. 게임의 제목을 붙이고, 게임을 할 대상의 연령을 정해 준다. 그리고 게임의 ...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후보자가 반드시 당선돼야 한다는 성질이다. 가령 A, B, C에 대한 투표 결과가 다음 페이지 그림과 같을 때 보르다 점수법을 적용하면 B가 당선되는데, A는 15명 중 과반인 8명으로부터 1위 표를 받고도 당선되지 못한 것이다. 반면 최다득표제는 가장 많은 득표수가 동시에 과반이라면 무조건 그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하지만 모든 변수를 고려하더라도 운석의 분포는 10~20km의 범위를 넘지 않을 것이다. 그림으로 본다면 진행방향을 축으로 하는 긴 타원에 가까운 분포이다. 즉, 이번 유성으로 발생한 운석들은 오직 진주 지역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니 다른 지역에서 운석을 찾는 수고를 하지 마시길….Q 진주 ... ...
- 영업직은 역시 외향적인 사람이 제격?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영향(약 60%)이 가장 큰 요소이다. 모든 성격 요소들이 어느 정도 그렇지만 외향성이라는 그림은 반 이상이 태어날 때 이미 그려져 있다는 것이다. 즉 외향성은 잘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특성이다. 매우 내향적인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외향적인 사람이 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일은 잘 일어나지는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들어 보면 문자를 읽지 못 하기 때문에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더 키우거나, 그림으로 이해하거나, 대사를 듣고 외워버렸다고 해. 정말 대단하지? 난독증은 머리가 나쁜 사람들이 걸리는 병이 아니야. 생각보다 훨씬 흔한 증상이란다.초등학생의 약 5%가 난독증2013년 교육부에서는 우리나라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교수는 그 이유를 '인장재의 힘이 하나의 점으로 모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예를 들어 그림❶과 같은 거미줄에서 3개의 고정점에 각각 연결된 모든 인장재(거미줄)는 'ㅇ'모양의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하는 '힌지(hinge)'를 따라 서로 이어져 있다. 이때 고정점과 거미줄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런 다음, 레벨측량기가 설치된 곳의 높이($b$)를 빼면 땅의 높이($h$)를 구할 수 있어요(그림❸)." 지금은 첨단 지도 시대!요즘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지도를 접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정확한 지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독자기자들은 지리정보과 이지훈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실험했을 때 오른쪽 벽에 도달하는 전자의 상태는 어떤 합성 상태, 즉 E₁#E₂가 된다.(그림❸) 다시 정리하자면 입자 하나의 서로 다른 상태들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입자들이 부딪혀서 새로운 입자를 만드는 곱셈도 가능하다.그런데 어째서 하나는 덧셈 하나는 곱셈이 되는지는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